산청군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
면적 | 794.61 km² |
세대 | 15,650 가구 (2005) |
총인구 | 36,460 명 (2005) |
읍 | 1개 |
면 | 10개 |
군수 | 이재근 |
국회의원 | 신성범(산청·함양·거창) |
군청 | |
소재지 | 산청읍 웅석산로18번길 32 (옥산리 465-3) |
홈페이지 | http://www.sancheong.ne.kr |
상징 | |
군목 | 대나무 |
군화 | 목화 |
군조 | 비둘기 |
역사[편집]
산음군(山陰郡)과 단성군(丹城郡)이 합친 군으로 산음은 신라의 지품천현(知品川縣)이며 경덕왕 때 산음으로 고려 공양왕 때 감무, 조선 때에는 현감을 두었다. 고종 3년(1895) 군으로 되었고, 1914년 단성군과 합하여 산청군이 되었다. 단성군은 신라의 궐지군(闕支郡)으로 경덕왕 때 궐성으로 고쳤고 후에 군이 되었다. 그 후 많은 변천 끝에 1914년 산음과 합하여 산청군이 되었다. 2013 산청세계의약엑스포를 개최할 예정이며 이를 산청발전의 획기적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 1432년 단성현으로 개편
- 1767년 산청현으로 개칭
- 1895년 진주부 산청군·단성군
- 1896년 경상남도 산청군·단성군
- 1914년 단성군이 산청군에 통합되었다.
- 1928년 4월 1일 도산면과 북동면이 신안면으로 합면하였다.[1]
- 1967년 지리산국립공원이 지정되었다.
- 1979년 5월 1일 산청면이 산청읍으로 승격되었다.[2]
지리[편집]
경상남도의 중서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과 그 지맥에 둘러싸인 산간분지로 지리산(1,915m), 황매산(1,104m)·웅석봉(熊石峯, 1,099m) 등 높은 산이 솟아 있다. 면적 794.61㎢, 인구 3만 6,460명(2005년 기준)이다. 역내를 남강의 상류 경호강·덕천강·양천강 등이 흘러 그 유역에 침식분지를 발달시켰다. 군의 동부는 경상계 낙동통의 지층이며 혈암·사암·역암 등이 분포되어 있고, 서부 지리산 일대의 지질은 화강편마암이다.
기후[편집]
남쪽에 위치하여 온난하나 산간지방에는 한서의 교차가 크다. 연평균기온은 12.8 ℃, 1월 평균기온은 0.1 ℃, 8월 평균기온은 25 ℃, 연평균 강수량은 1,556.6mm이다.
[숨기기]산청군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평균최고기온℃ (℉) | 6.0 (42.8) | 8.4 (47.1) | 13.4 (56.1) | 20.0 (68) | 24.6 (76.3) | 27.5 (81.5) | 29.5 (85.1) | 30.3 (86.5) | 26.6 (79.9) | 21.9 (71.4) | 14.9 (58.8) | 8.7 (47.7) | 19.3 (66.7) |
일평균기온 ℃ (℉) | 0.1 (32.2) | 2.0 (35.6) | 6.6 (43.9) | 12.7 (54.9) | 17.5 (63.5) | 21.4 (70.5) | 24.6 (76.3) | 25.0 (77) | 20.2 (68.4) | 14.0 (57.2) | 7.6 (45.7) | 2.1 (35.8) | 12.8 (55) |
평균최저기온 ℃ (℉) | −4.7 (23.5) | −3.4 (25.9) | 0.6 (33.1) | 5.9 (42.6) | 11.0 (51.8) | 16.4 (61.5) | 20.9 (69.6) | 21.2 (70.2) | 15.7 (60.3) | 8.2 (46.8) | 1.9 (35.4) | −3.1 (26.4) | 7.6 (45.7) |
강수량 mm (inches) | 28.4 (1.118) | 43.9 (1.728) | 68.5 (2.697) | 97.5 (3.839) | 104.3 (4.106) | 193.9 (7.634) | 324.8 (12.787) | 366.9 (14.445) | 222.3 (8.752) | 48.3 (1.902) | 38.5 (1.516) | 19.3 (0.76) | 1,556.6 (61.283) |
% 습도 | 58.5 | 58.7 | 59.0 | 58.7 | 64.1 | 71.3 | 78.4 | 78.1 | 76.1 | 70.0 | 65.3 | 60.9 | 66.6 |
평균강수일수(≥ 0.1 mm) | 4.9 | 5.5 | 7.3 | 8.3 | 8.7 | 9.5 | 14.1 | 13.4 | 8.7 | 4.7 | 5.3 | 4.0 | 94.4 |
일조시간 | 172.9 | 178.3 | 207.6 | 224.2 | 231.6 | 189.8 | 171.3 | 176.4 | 169.0 | 197.2 | 163.5 | 161.1 | 2,244.4 |
출전: 대한민국 기상청[3] |
행정 구역[편집]
산청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0면을 관할한다. 2012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인구는 17,252세대, 35,581명이고 그 중 18,5%가 산청읍에 거주한다. [4] 116,762명을 정점으로 계속해서 인구가 감소하여 현재 인구는 35,581명으로 줄어들었다.
읍면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행정 지도 |
---|---|---|---|---|---|
산청읍 | 山淸邑 | 68.84 | 3,005 | 6,602 | |
차황면 | 車黃面 | 48.74 | 815 | 1,591 | |
오부면 | 梧釜面 | 35.06 | 594 | 1,175 | |
생초면 | 生草面 | 52.99 | 1,224 | 2,425 | |
금서면 | 今西面 | 76.33 | 1,320 | 2,757 | |
삼장면 | 三壯面 | 103.26 | 884 | 1,800 | |
시천면 | 矢川面 | 127.71 | 1,962 | 4,219 | |
단성면 | 丹城面 | 108.68 | 2,944 | 5,69 | |
신안면 | 新安面 | 72.18 | 2,539 | 5,829 | |
생비량면 | 生比良面 | 43.97 | 718 | 1,345 | |
신등면 | 新等面 | 56.88 | 1,131 | 2,204 | |
산청군 | 山靑郡 | 794.74 | 17,252 | 35,581 |
산업[편집]
농업이 주업이며 쌀·보리·콩의 생산이 많다. 지리산 기슭에는 목재·한지·목기·죽기의 산출이 있다. 한편, 양잠이 자연적 특성에 맞아 잠업단지를 조성하여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기타 산간 지방에서는 그 지역의 실정에 맞는 밤나무·축산 등의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지하자원으로서는 고령토 생산이 하동군을 앞서는데, 대명·특리·단성·오서·산청 등의 광산이 유명하며 이를 재료로 한 요업이 활발하다.
문화[편집]
드라마[편집]
관광[편집]
교통[편집]
인물[편집]
자매 도시[편집]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해시
대한민국 전라남도 영암군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금정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중국 허난성 쉬창 시 위저우 시
중국 안후이성 황산시
같이 보기[편집]
주석[편집]
- ↑ 도령 제1호 (제정 1928년 1월 28일)
- ↑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제정 1979년 4월 7일 대통령령 제9409호)
- ↑ 평년값자료(1981−2010) 산청(289). 대한민국 기상청. 2011년 5월 7일에 확인.
- ↑ 산청군의 주민등록인구통계, 2012년 8월 6일 확인
바깥 고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산청군청 (공식)
[숨기기] | |
---|---|
도청소재지: 창원시 | |
[보이기]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