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군의 위치 | |
현황 | |
---|---|
면적 | 406.0 km² |
세대 | 26,481가구 (2012.02) |
총인구 | 62,931명 (2012.02) |
읍 | 1개 |
면 | 6개 |
군수 | 유영훈 |
국회의원 | 경대수(증평·진천·괴산·음성) |
군청 | |
소재지 | 진천읍 상산로 13 (읍내리 463) |
홈페이지 | http://www.jincheon.go.kr/ |
상징 | |
군목 | 은행나무 |
군화 | 장미 |
군조 | 까치 |
진천군(鎭川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서쪽에 있는 군이다. 금강 상류인 미호천이 광혜원면과 백곡면에서 발원하며, 차령산맥에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다. 진천읍으로 중부고속도로가 관통하여 서울 방면과 대전 방면으로 교통이 편리하다. 군청 소재지는 진천읍이고, 행정구역은 1읍 6면이다.
역사[편집]
- 1895년 음력 윤5월 1일 충주부 진천군 [2]
- 1896년 8월 4일 충청북도 진천군 [3]
- 1973년 7월 1일 진천면이 진천읍으로 승격되었다.[4]
- 1983년 2월 15일 덕산면 상신리·산척리와 이월면 송두리·가산리가 진천읍으로 편입되었고, 덕산면 중석리가 초평면에 편입되었고, 만승면 내촌리·사당리가 이월면에 편입되었다.[5]
- 2000년 1월 1일 만승면을 광혜원면으로 개칭하였다.
지리[편집]
진천군은 충청북도 북서부에 위치한다. 중부고속도로가 관통하는 농업과 공업이 함께 하는 내륙 도시로 반경 40km내에 청주시, 음성군, 괴산군, 안성시, 천안시 등이 위치해 있다. '생거진천'이라는 유래에 따라 차령산맥이 북쪽으로부터 남쪽에 이르러 산악이 많고 동북부는 금강 상류인 미호천이 광혜원면과 백곡면에서 시작하여 남쪽의 광활한 평야가 흐르고 있어 비옥한 곡창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행정 구역[편집]
진천군의 행정 구역은 1읍 6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천군의 면적은 407.08km²이며, 인구는 1965년에는 88,782명이었으나 감소와 증가를 반복하여 2012년 2월을 기준으로 26,482 세대, 62,931명이고 그 중 46.2%가 진천읍에 거주한다.[6]
읍면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행정지도 |
---|---|---|---|---|---|
진천읍 | 鎭川邑 | 70.50 | 11,541 | 29,075 | |
덕산면 | 德山面 | 35.02 | 2,561 | 5,820 | |
초평면 | 草坪面 | 76.29 | 1,616 | 3,693 | |
문백면 | 文白面 | 60.18 | 1,817 | 3,943 | |
백곡면 | 栢谷面 | 80.09 | 1,101 | 2,204 | |
이월면 | 梨月面 | 55.20 | 3,503 | 7,782 | |
광혜원면 | 廣惠院面 | 29.80 | 4,343 | 10,414 | |
진천군 | 鎭川郡 | 407.08 | 26,482 | 62,931 |
교통[편집]
- 중부고속도로가 군 중앙을 통과하며 서울과 대전,청주 등 수도권과 각 지방으로 연결된다.
- 2008년에는 평택제천고속도로가 개통되고 이월면에 북진천 나들목이 생겨나 서울 및 수도권으로의 이동이 편리해진다.
- 일반국도는 국도 제17호선과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4호선이 교차 통과한다.
문화[편집]
- 용화사
용화사는 통일신라시대 사찰로 신라 성덕왕 19년에 만들어진 숭덕불상을 모시기 위해 처음에는 미륵불당으로 세워 졌다. 조선시대에 와서 숭유척불 정책으로 불교를 배척할 때 절은 없어지고 이 석불만 외롭게 서 있다가 1959년에 기해 10월에 한자심에 의해 법당, 요사채를 각 세 칸씩 짓고 1965년 을사 10월에 법당을 중수하고 용화사라 이름 지었다.[7]
- 배티성지
진천군 백곡면 양백리 노고산 아래 위치한 배티성지는 조선 후기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박해를 받아 순교한 곳이다. 1870년부터 다시 신앙이 싹터 1884년에는 선교사들이 진천에 배티, 삼박골, 용진골, 새울, 굴티등 다섯 곳에 공소를 설정하게 되었으며 1890년에는 배티공소에 "교리학교"가 세워지기도 했다. 순교자의 종교정신을 기리고 기도하는 장소와 피정의 집으로 활용되었으나 십자가와 묵주만이 남아 천주교 박해의 정도를 가늠케한다. 일제시대에 신자들이 하나, 둘 떠나 현재 이곳 배티에는 신자들이 생업을 영위하던 옹기점과 무명순교자의 묘 만이 남아있다. 동네어귀에 배나무가 많은 배나무 고개라서 이치란 말이 생겨났고 이것이 순수한 우리말로 배티라 불리게 되었다는 설과 조선 영조 때 이인좌의 난 때 백곡을 지나다 이 마을 노인 이순곤이 이끄는 주민에게 패한 뒤 다시 안성쪽으로 향하다 오명황이 이끄는 관군에게 진압되어 패전하였다는데서 패치라 불리다 바뀌었다는 설이다.
관련 드라마[편집]
교육[편집]
- 고등학교
- 진천고등학교
- 진천생명과학고등학교
- 광혜원고등학교
- 진천상고등학교
- 중학교
- 진천중학교
- 이월중학교
- 백곡중학교
- 광혜원중학교
- 덕산중학교
- 진천여중학교
- 초등학교
- 상산초등학교
- 삼수초등학교
- 성암초등학교
- 이월초등학교
- 학성초등학교
- 상신초등학교
- 금구초등학교
- 옥동초등학교
- 한천초등학교
- 초평초등학교
- 구정초등학교
- 문백초등학교
- 문상초등학교
- 백곡초등학교
- 만승초등학교
자매 도시[편집]
주석[편집]
- ↑ 연혁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 ↑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제3조
- ↑ 주민등록 인구통계
- ↑ 진천군 사찰, 2012년 4월 28일 확인
바깥 고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진천군청 (공식)
[숨기기] | |
---|---|
도청소재지: 청주시 | |
[보이기]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