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군의 위치 | |
현황 | |
---|---|
면적 | 1,646.08 km² |
세대 | 12,977가구 (2008) |
총인구 | 31,620명 (2008) |
읍 | 1개 |
면 | 5개 |
군수 | 이순선 |
국회의원 | 한기호(철원·화천·양구·인제) |
군청 | |
소재지 | 인제읍 인제로187번길 8 (상동리 349-6) |
홈페이지 | http://www.inje.go.kr/ |
상징 | |
군목 | 주목 |
군화 | 철쭉 |
군조 | 백비둘기 |
역사[편집]
고구려 때 저족현(猪足縣:烏斯回)이라 하였는데 고려 때 인제로 개칭하고, 춘천에 귀속되었다가 뒤에 회양(淮陽)에 예속하였다. 고려 공양왕 1년(1389년)에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고,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는 현감을 두었다. 과거 이 지역은 유배지였는데, 원통 일대가 주된 유배지였다.
- 1895년 음력 윤5월 1일 : 춘천부 인제군으로 개편되었다.[1]
- 1896년 8월 4일 : 상위 행정기관인 춘천부가 강릉부와 합쳐지면서 강원도 소속이 되었다.[2]
- 1914년 4월 1일 : 6면으로 개편하였다.[3]
- 6면 - 군내면, 내면, 남면, 북면, 서화면, 기린면
- 1916년 : 군내면이 인제면으로 개칭된다.
- 1945년 9월 2일 :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내면 전부 · 남면 대부분과 인제면·기린면의 일부를 제외한 인제군 전 지역이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아갔다.
- 1945년 9월 16일 : 인제군의 미군정 관할 지역이 홍천군에 편입되었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 홍천군 신남면 일원 인제군 인제면 원대리 인제군 남면 부평리, 어론리, 김부리, 신월리, 정자리, 갑둔리, 신풍리 인제군 내면 홍천군 내면
- 한국 전쟁 이후에는 대한민국의 행정구역으로 바뀌었으나, 서화면 북쪽은 북조선에 남아 있다. 해당지역은 금강군에 편입되었다.
- 1954년 11월 17일 : 인제군을 강원도의 관할에 두었다.[4] (6면)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신 행정구역 인제군 인제면, 북면, 서화면, 남면, 기린면, 해안면(양구군에서 편입)
- 1963년 1월 1일 : 해안면을 서화면에 편입하였다.[5] (5면)
- 1973년 7월 1일 : 홍천군 내면 일부를 기린면에, 서화면 일부(구 해안면)를 양구군 동면에 편입하였다. (5면)
- 1979년 5월 1일 : 인제면을 인제읍으로 승격하였다.[6] (1읍 4면)
- 1983년 2월 15일 : 인제군 기린면 상남리·하남리·미산리와 남면 김부리를 관할로 하여 상남면이 신설되었다.[7] (1읍 5면)
지리[편집]
서남쪽은 홍천군, 동남쪽은 평창군, 북서쪽은 양구군(광치령), 북동쪽은 속초시(미시령), 고성군(진부령), 양양군(한계령)과 접해 있다. 북쪽에 있는 서화면 일부는휴전선에 접해 있어서 일부에는 민통선이 설정되어 있다. 대한민국 기초 자치 단체 가운데 홍천군 다음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며, 인구밀도는 대한민국 기초 자치 단체 중에서 가장 낮다.
강원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동쪽 태백산맥에는 무산(1,320m)·향로봉(1,298m)·설악산1,708m), 오대산(1,568) 등이 솟아 있고, 서쪽은 대암산 줄기가 남북으로 뻗어 있다.하천은 북한강의 지류 소양강이 주류가 되어 남류하다가 인제 부근에서 내린천 등 지류와 합류한다. 연안에는 약간의 범람원과 작은 선상지가 발달, 그 중 서화분지가 비교적 크다. 지질은 주로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기후[편집]
내륙 산간지이기 때문에 여름·겨울의 기온 교차뿐만 아니라 주야의 교차도 심한 내륙 고원 기후를 나타내며, 강수량은 여름에 집중적으로 많고, 겨울의 적설도 많다. 연평균 기온 10.1 , 1월 평균 -5.2, 8월 평균 23.3, 최고 기온 39 (1942. 7), 최저 기온 -30 (1927. 1), 연평균 강수량 1,210㎜이다.
[숨기기]인제군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평균최고기온℃ (℉) | 1.0 (33.8) | 4.2 (39.6) | 10.0 (50) | 18.0 (64.4) | 22.9 (73.2) | 26.6 (79.9) | 28.1 (82.6) | 28.7 (83.7) | 24.5 (76.1) | 18.9 (66) | 10.7 (51.3) | 3.7 (38.7) | 16.5 (61.7) |
일평균기온 ℃ (℉) | -5.2 (22.6) | -2.2 (28) | 3.5 (38.3) | 10.6 (51.1) | 15.7 (60.3) | 20.0 (68) | 23.1 (73.6) | 23.3 (73.9) | 18.1 (64.6) | 11.6 (52.9) | 4.5 (40.1) | -2.0 (28.4) | 10.1 (50.2) |
평균최저기온 ℃ (℉) | -11.0 (12.2) | -8.1 (17.4) | -2.3 (27.9) | 3.5 (38.3) | 9.2 (48.6) | 14.6 (58.3) | 19.3 (66.7) | 19.4 (66.9) | 13.5 (56.3) | 6.0 (42.8) | -0.9 (30.4) | -7.2 (19) | 4.7 (40.5) |
강수량 mm (inches) | 17.5 (0.689) | 20.7 (0.815) | 38.0 (1.496) | 61.1 (2.406) | 97.7 (3.846) | 118.2 (4.654) | 307.2 (12.094) | 294.0 (11.575) | 156.4 (6.157) | 40.7 (1.602) | 39.5 (1.555) | 19.7 (0.776) | 1,210.5 (47.657) |
% 습도 | 67.4 | 64.0 | 62.0 | 57.5 | 65.7 | 71.7 | 79.0 | 79.2 | 77.2 | 72.9 | 69.6 | 68.7 | 69.6 |
평균강수일수(≥ 0.1 mm) | 6.7 | 6.2 | 7.9 | 7.3 | 9.1 | 9.9 | 14.9 | 13.3 | 8.3 | 5.6 | 7.0 | 6.2 | 102.4 |
일조시간 | 160.5 | 159.9 | 192.0 | 211.8 | 224.1 | 205.2 | 159.0 | 174.3 | 175.7 | 175.7 | 139.5 | 146.2 | 2,128.1 |
출전: 대한민국 기상청[8] |
행정 구역[편집]
인제군의 행정 구역은 1읍 5면이며, 면적은 1646.33㎢로 전국의 1.7%, 강원도의 9.9% 이다. 전면적의 90% 이상이 임야로 구성되며, 해발 800m이상의 준령이 20여개 있다. 인구는 3만여명 (한때 60000명대도 기록)으로 면적에 비해 인구밀도가 낮으나 귀농 인구, 전원생활을 위한 도시인구 전입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전체 인구의 28.2%가 인제읍에 거주한다.[9] 성비는 114로, 고성군 (107)보다는 높고 화천군 (119)보다 낮으며, 강원도에서 두 번째로 성비가 높다.
읍면동 | 한자 | 인구 | 세대 | 면적 | 행정 지도 |
---|---|---|---|---|---|
인제읍 | 麟蹄邑 | 9,017 | 3,682 | 315.24 | |
인제읍 귀둔출장소 | 587 | 255 | |||
남면 | 南面 | 3,867 | 1,720 | 243.24 | |
북면 | 北面 | 8,274 | 3,675 | 349.06 | |
기린면 | 麒麟面 | 5,162 | 2,214 | 275.09 | |
서화면 | 瑞和面 | 3,371 | 1,607 | 265.37 | |
상남면 | 上南面 | 1,649 | 781 | 197.54 | |
인제군 | 麟蹄郡 | 31,927 | 13,934 | 1,645.54 |
문화·관광[편집]
- 밀리터리파크
- 2009년 5월에 인제읍 초입에 생긴 밀리터리파크는 업그레이드된 서바이벌게임을 할 수 있는 곳이다. 이곳에 설치된 "서든어택 얼라이브" 경기장에서는 실제 시가전과 같은 게임이 벌어진다.[10]
강원도 기념물 제50호이다. 인제군 북면 한계리 90-1~4번지에 위치하였으며 인제군 소유로 관리되고 있다. 한계사는 신라 제28대 진덕여왕 원년(647)에 자장율사가 창건하였으나 수차에 걸쳐 큰 화재를 입어 북면 용대2리 지금의 백담사로 자리를 옮겨가고 남은 터가 한계사지이다.
- 내린천 계곡
내린천은 강원도의 깊숙한 골짜기를 가로지르는, 그 길이가 무려 70km에 이르는 긴 물줄기이다. 이런 지형적인 영향으로 인제에서 31번 국도를 따라 상남까지 이어지는 약 52km의 구간이 최근 들어 래프팅의 명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11]
- 방동약수
사이다와 같은 탄산수 계열의 약수로 기린면 방동리에 위치해 있다. 탄산 이외에도 철, 망간, 불소가 들어 있어서 위장병에 특효가 있고 소화증진에도 좋다고 한다.[12]
산업[편집]
농경지는 하천의 범람원·산록부·선상지·분지 등에 분포되어 있으며 밭이 많다. 잡곡·감자가 많이 나며 양봉은 전국 제1로서 밀원지대를 이루고 있다. 임야 면적이 넓고 임상이 좋아 용재와 신탄을 많이 산출하여 남한 제1의 임업지이다. 그 밖에 인삼·당귀·복령·사향·웅담 등 한약재도 많이 난다. 주민의 5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과 잡곡·감자·누에고치·소·꿀 등이다. 총임야면적 15만 9,452 중 대부분이 임목지이다.
특산물[편집]
교통[편집]
도로에 의하여 홍천·춘천·양구·간성·속초·양양 등지와 연결되며, 철도 노선은 없다. 홍천∼인제∼양양 간 국도의 포장 공사가 1980년에 완공됨으로써 수도권과의 시간거리가 단축되었다. 동해안과는 진부령, 미시령, 한계령을 넘어 연결된다.
교육[편집]
출신 인물[편집]
주석[편집]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년 10월 21일)
- ↑ 법률 제1178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62년 11월 21일)
- ↑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 4월 7일)
- ↑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 ↑ 평년값자료(1981-2010) 인제(211). 대한민국 기상청. 2011년 5월 2일에 확인.
- ↑ 인제군 행정구역, 2012년 2월 14일 확인
- ↑ 김영주 기자. “[레츠고, 레포츠] 아줌마들도 총을 들었다, 짜릿한 시가전의 매력”, 《중앙일보사》, 2009년 6월 11일 작성. 2009년 6월 14일 확인.
- ↑ 관광명소 안내-내린천 계곡, 2012년 4월 14일 확인
- ↑ 인제관광-방동약수, 2012년 4월 14일 확인
바깥 고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인제군청 (공식)
강원도 양구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금강군 | 강원도 고성군 | ||
강원도 춘천시 | 강원도 속초시 | |||
강원도 홍천군 | 강원도 양양군 |
[보이기]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