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9월 16일 월요일

영월군


영월군
영월군의 위치
영월군의 위치
현황
면적1,127.60 km²
세대18,881가구 (2012년말)
총인구40,155명 (2012년말)
2개
7개
군수박선규
국회의원염동열
군청
소재지영월읍 하송로 64 (하송5리 242)
홈페이지http://www.yw.go.kr/
상징
군목소나무
군화철쭉
군조까막딱따구리
영월군 (寧越郡, 문화어:녕월군)은 대한민국 강원도 남부에 있는 이다.
조선 단종(端宗)의 능인 장릉(莊陵)이 있으며 김삿갓면에 김삿갓(김병연)의 묘가 있다. 영화 《라디오 스타》와 드라마 《선덕여왕》의 배경이다.

역사[편집]

백제시대(234년~286년)에는 백월, 고구려시대(300년~331년)에는 내생군(奈生郡)이었던 것을 신라 때 내성현이라 고쳤고, 고려 때 영월로 고쳐 원주에 속하였다가 공민왕 21년(1372) 군으로 승격되었다. 공양왕 원년(1389)에 충청도로부터 강원도에 속하였다.

지리[편집]

강원도의 남부에 위치하며 군의 동부에는 태백산맥이 남북으로 뻗고 남쪽에는 소백산맥이 여기서 갈려서 동서로 뻗는데 그 양 산맥의 여파가 군내 도처에 미쳐 산악이 중첩하고, 백운산·옥석산·백덕산 등이 솟아 있다. 중앙부는 한강과 그 지류 평창강·주천강 등이 영월 부근에서 합류하며, 평지는 영월분지 외엔 별로 없다.지질은 주로 석회암층이며 곳곳에 카르스트지형이 발달하여 있다.
충청북도경상북도에 접하여 중부내륙지방에 속해 있다. 동쪽으로는 태백시, 서쪽으로는 원주시와 횡성군, 남쪽으로는 충청북도 제천시와 단양군경상북도 영주시와 봉화군이 북쪽으로는 평창군과 정선군이 위치해 있다.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있고, 법정이름은 동강이 한강이며 서강은 평창강이다. 영월읍에서 두 강이 합쳐 속칭 남한강이 시작된다. 남한강은 법정이름이 아니며 북한강에 대비된 이름, 영월시점(하송, 덕포, 팔괴리 경계점)에서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의 북한강합류점까지216.7km

기후[편집]

내륙 산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기온의 교차가 큰 내륙성 기후이다. 연평균 기온 10.8 , 1월 평균 -5.7 , 8월 평균 25.5 , 최고 42 (1942.7), 최저 -30 (1920.1), 연평균 강수량은 1,200㎜이다.

행정 구역[편집]

영월군의 행정 구역은 2읍 7면으로 구성된다. 영월군의 면적은 1,127.45㎢이다. 인구는 2012년말 기준 18,668세대, 40,155명이며, 그 중 54.3%가 영월읍에, 3.2%가 상동읍에 거주하여 인구의 57.5%가 읍 지역에 거주한다. 인구 최고점은 123,668명이었다.[8] 남녀 성비는 1.04이다.
영월군의 읍·면이름한문면적(㎢)인구(명)
Young wol-map.png
영월읍寧越邑172.4121,832
상동읍上東邑139.51,302
수주면水周面153.371,658
주천면酒泉面102.514,065
한반도면韓半島面69.873,425
북면北面111.342,557
남면南面82.182,359
김삿갓면金삿갓面171.51,683
중동면中東面124.771,588

인구[편집]

영월군(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9]
연도총인구
1966년124,659명
1970년123,619명
1975년112,563명
1980년95,495명
1985년81,861명
1990년65,595명
1995년47,720명
2000년43,732명
2005년36,979명
2010년34,880명

산업[편집]

산간지이기 때문에 경지 면적이 좁고 밭이 많다. 목초가 많아 소를 많이 치고 임상이 좋아 용재와 신탄 산출이 많다. 지질 구조상 각종 광물의 매장이 풍부하여 무연탄·텅스텐·석회석·철광·아연·수연·창연·니켈·주석 등이 산출되고 삼척군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보고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근 40년의 역사를 가진 마차탄전이 1972년 9월말 폐광된 데 이어 텅스텐광도 값싼 중국산이 수입되면서 1992년 채굴을 중단했다. 영월에는 또 화력발전소가 있고, 무연탄과 무한한 석회암 그리고 풍부한 전력은 시멘트공장을 건설케 했다.

농림업[편집]

주요 농산물은 쌀·옥수수·보리·밀·감자·누에고치·소·닭·염소·꿀 등이다. 수목의 벌채가 비교적 적어 무성한 임삼이 많이 남아 있어 유용재와 신탄 산출이 적지 않으며, 특히 광산용 갱목을 다른 지방으로 공급하고 있다.

광업[편집]

상동의 중석·창연·수연, 순경의 주석, 옥동(玉洞)의 무연탄은 유명하였으나 석탄합리화정책에 따라 광산은 많이 줄었다. 무연탄 광산은 영월읍과 북면에 각각 1개 소가 있다. 40만 kW의 영월 복합 화력 발전소와 무진장의 석회석은 부근의 시멘트·석회 공업 발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한편, 태백선(함백선)의 개통과 이의 전철화는 이 지역 자원개발에 더욱더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산물[편집]

인진쑥·신령버섯·청결고춧가루·정든고추장·영월참기름·영월더덕·청결미·영월사고·그랜채소·잡곡·토종대추·취나물·꿀·칡국수·버섯·묵·한우고기·메주·생광석·목공예품·영월칡술·칡녹말 등이 유명하다.

문화·관광[편집]


단종의 넋이 서린 장릉
조선 단종의 무덤으로 영월읍에 위치하고 있다. 사적 제196호로 지정되어 있다. 단종이 작은 아버지 수양대군에게 왕의 자리를 빼앗기고 청령원에 유배되었다가 1457년 10월 24일 17세에 사약을 받고 숨을 거두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후환이 두려워 시신을 거두지 못한 채 강물에 떠다녔는데, 호장 엄홍도가 을지산 현 위치에 암장하였다. 이로써 왕릉은 《경국대전》에 따라 한양으로부터 100리 이내에 안장되어야 한다는 규정에서 벗어나 장릉은 경국대전의 규정에서 제외된 유일한 왕릉이 되었다.

관련 드라마[편집]

관련 영화[편집]

교통[편집]


영월역
철도는 태백선이 제천으로부터 분기되어 군내를 횡단하여 정선군에 달한다. 또한 도로는 원주·횡성·평창·정선·태백·제천·단양·봉화 등에 연결되기는 하나 아직 교통이 불편하다.

도로교통[편집]

철도교통[편집]

태백선이 통과하며, 여객 영업은 쌍룡역영월역에서 담당한다.

교육[편집]

  • 고등학교
  • 중학교
    • 녹전중학교
    • 상동중학교
    • 연당중학교
    • 주천중학교
  • 초등학교
    • 구래초등학교
    • 녹전초등학교
    • 연상초등학교
    • 연당초등학교
    • 쌍용초등학교 토교분교
    • 주천초등학교
    • 무릉초등학교

출신 인물[편집]

자매 도시[편집]

주석[편집]

  1.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2.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3.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4.  법률 제539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60년 1월 1일)
  5.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6.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7.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8.  영월군의 일반현황
  9.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바깥 고리[편집]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