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9월 17일 화요일

연천군


연천군
연천군의 위치
연천군의 위치
현황
면적695.61 km²
세대19,005가구 (2008.7.31)
총인구45,572명 (2008.7.31)
2개
8개
군수김규선
국회의원김영우(포천·연천)
군청
소재지연천읍 연천로 220 (차탄리 290-1)
홈페이지http://www.iyc21.net/
상징
군목대추나무
군화개나리
군조비둘기
연천군(漣川郡, 문화어: 련천군)은 대한민국 경기도 북부에 있는 이다. 인구는 2008년 7월 기준 45,572명으로 대한민국 경기도에서 가장 적다. 동쪽은 포천시와 강원도 철원군, 서쪽은 군사분계선을 끼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특급시, 남쪽은 동두천시와 양주시파주시, 북쪽은 군사분계선을 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강원도 철원군과 황해북도 금천군과 접한다.

역사[편집]

13면 - 군내면, 군남면, 중면, 관인면, 북면, 서남면, 동면, 남면, 적성면, 미산면, 왕징면, 백학면, 영근면
  • 1934년 4월 1일 : 북면과 동면을 통합하여 삭녕면으로 개칭하였다. (12면)
  • 1937년 : 군내면(郡內面)을 연천면으로 개칭하였다.
  • 1941년 : 영근면(嶺斤面)을 전곡면으로 개칭하였다.
  • 1945년 9월 2일 :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적성면·남면·전곡면과 백학면 일부를 제외한 연천군 전 지역이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아갔다.
  • 1945년 11월 4일 : 연천군의 미군정 관할 지역이 파주군에 편입되었다.[5]
군정법률 제22호 시도직제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연천군 적성면, 전곡면, 백학면파주군 적성면
연천군 남면파주군 남면
  • 1946년 2월 5일 : 파주군에 편입되었던 남면이 양주군에 편입되었다.
  • 1946년 12월 : 소련군정 하의 연천군 전 지역과 포천군 청산면창수면이 강원도에 편입되었다. 이로써 소군정 하의 연천군은 연천면, 전곡면, 백학면, 삭녕면, 서남면, 군남면, 미산면, 왕징면, 중면, 관인면, 청산면, 창수면 이하 12면으로 개편되었다.
  • 1953년 7월 27일 : 한국 전쟁의 결과, 삭녕면과 서남면을 제외한 연천군 전 지역이 수복되었다.
  • 1954년 11월 17일 : 연천군이 행정기능을 회복하였고, 파주군에 편입되었던 전곡면과 백학면 지역이 연천군으로 환원되었다. 그러나, 적성면은 환원되지 않았다.[6] (8면)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신 행정구역
연천군 연천면, 군남면, 관인면, 미산면(파주군 적성면 삼화리 편입), 전곡면, 왕징면(서남면, 장단군 강상면 편입), 중면(삭녕면 편입), 백학면(장단군 대강면, 장도면, 장남면 판부리 편입)[7]
법률 제1178호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철원군 신서면연천군 신서면
장단군 장남면연천군 백학면 일부
파주군 적성면 늘목리연천군 전곡면 늘목리

인구[편집]

연천군의 인구는 2009년 현재 45,495명이며 인구 밀도는 67명/㎢이다. 0~14세 인구는 14.2%, 65세 이상 인구는 18.1%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67.7%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1%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낮고, 노년인구부양비는 26.6%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높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6.22로 남자가 다소 많다. [16]

행정 구역[편집]

연천군의 행정 구역은 2읍 8면 96리 597반이다. 연천군의 인구는 2010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19,848세대 45,177명이며, 면적은 674.47㎢로 경기도 내에서 5위, 서울의 1.14배에 해당한다.[17] 1982년에는 인구가 68,144명에 달하였다. 전곡읍(43.8%) · 연천읍(15%) 등 읍(邑)지역에 전체 인구의 58.8%가 거주하고 있다. 연천읍보다는 동두천시의정부시서울특별시와의 접근성이 좋은 전곡읍의 인구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읍·면한자면적인구행정구역
연천읍漣川邑112.386,781Yeoncheon-map.png
전곡읍全谷邑55.219,780
군남면郡南面45.623,571
청산면靑山面43.724,370
백학면百鶴面61.273,290
미산면嵋山面40.91,766
왕징면旺澄面85.91,178
신서면新西面131.813,425
중면中面95.03257
장남면長南面56.17662

관광[편집]

한탄강 유원지가 2년간의 정비 사업을 마치고 오토캠핑장 등을 갖추어 2008년 7월 19일 문을 열었다. [18]
  • 고대산
  • 열두개울
  • 역고드름
  • 동막골 유원지
  • 재인폭포
  • 임진강
  • 북삼리 허브아일랜드
  • 선사박물관
  • 태풍전망대

축제 행사[편집]

  • 연천전곡리 구석기축제
  • 숭의전 고려문화제
  • 농특산물 판매

재래시장(5일장)[편집]

  • 전곡장 4일 . 9일
  • 연천장 2일 . 7일
  • 대광리 1일 . 6일

교육기관[편집]

초등학교[편집]

  • 대광초등학교
  • 상리초등학교
  • 연천초등학교
  • 군남초등학교
  • 화진초등학교
  • 왕산초등학교
  • 백학초등학교
  • 전곡초등학교
  • 은대초등학교
  • 초성초등학교
  • 궁평초등학교
  • 백의초등학교

중학교[편집]

  • 대광중학교
  • 연천중학교
  • 군남중학교
  • 전곡중학교
  • 백학중학교
  • 청산중학교

고등학교[편집]

  • 연천고등학교
  • 전곡고등학교

교통[편집]

도로[편집]

국도 제3호선과 국도 제37호선이 통과하며, 두 노선은 전곡읍에서 만난다.

철도[편집]

버스[편집]

같이 보기[편집]

자매도시[편집]

주석[편집]

  1. 이동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2. 이동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3. 이동 포천군 외4군면 폐합에 관한 건
  4. 이동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5. 이동 군정법령 제22호 시도직제 (1945년 11월 3일)
  6. 이동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년 10월 21일)
  7. 이동 삭녕·서남면과 장단군 에서 편입된 강상·대강·장도면의 수복지역은 비무장지대 안에 위치하고 있다.
  8. 이동 법률 제1178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62년 11월 21일)
  9. 이동 군조례 제111호 (1965년 4월 30일)
  10. 이동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 4월 7일)
  11. 이동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12. 이동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년 9월 26일)
  13. 이동 대통령령 제12007호
  14. 이동 대통령령 제12557호
  15. 이동 군조례 제2026호 (1989년 3월 30일)
  16. 이동 연천군 통계연보, 2009년 통계연보 PDF자료
  17. 이동 연천군의 기본현황, 2012년 4월 5일 확인
  18. 이동 김연주 기자. “한탄강유원지 오는 19일 개장”, 《조선일보》, 2008년 7월 11일 작성. 2008년 7월 12일 확인.

바깥 고리[편집]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