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의 위치 | |
현황 | |
---|---|
면적 | 276.64 km² |
세대 | 115,103가구 (2013.6) |
총인구 | 301,328명 (2013.6) |
읍 | 3개 |
면 | 3개 |
행정동 | 5개 |
법정동 | 9개 |
시장 | 유영록 |
국회의원 | 유정복 |
시청 | |
소재지 | 김포시 사우중로 1 (사우동 263-1) |
홈페이지 | http://www.gimpo.go.kr/ |
상징 | |
시목 | 느티나무 |
시화 | 개나리 |
시조 | 까치 |
김포시(金浦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북서부에 있는 시이다. 동쪽은 파주시, 고양시, 서울특별시 강서구, 서쪽은인천광역시 강화군, 남쪽은 인천광역시 계양구, 서구, 북쪽은 한강과 임진강을 끼고 황해도 개풍군과 맞닿아 있다. 한강에 의한 토사의 운반·퇴적으로 농경에 적합한 김포평야를 이룬다. 시청은 사우동에 있고, 행정구역은 3읍 3면 5동이다.
목차
[숨기기]역사[편집]
- 1998년 4월 1일 김포군을 김포시로 승격하였다.[1] 김포읍을 유지하고, 김포1동, 김포2동, 김포3동을 설치하였다. (6면 3행정동)
- 2003년 9월 1일 김포3동을 사우동과 풍무동으로 분동하였다. (6면 4행정동)
- 2004년 1월 1일 통진면이 통진읍으로 승격하였다.[2] (1읍 5면 4행정동)
- 2009년 9월 1일 고촌면을 고촌읍으로 승격하고, 양촌면 일부를 김포2동에 편입하였다.[3] (2읍 4면 4행정동)
김포시 조례 제812호 읍·면·동·리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고촌면 일원 고촌읍 일원 양촌면 마산리 일원 마산동 일원 양촌면 구래리 일부 구래동 일원
- 2011년 11월 14일 양촌면을 양촌읍으로 승격하였다.[4] (3읍 3면 4행정동)
- 2012년 9월 24일 장기 행정동을 신설하였다. (3읍 3면 5행정동)
- 2013년 6월 30일 김포시의 인구가 30만을 돌파하였다.(김포시 인구 30만1328명)
지리[편집]
경기도의 서쪽 한강 하구에 위치한 섬에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시생대의 화강편마암과 중생대 대동계(大同系)의 혈암·사암 등 지질로 되어 있다. 면적 276.64㎢, 인구 30만 1328명(2013.6)이다. 문수산·가현산·장릉산 등의 낮은 산이 약간 있을 뿐인 준평원화한 지역으로서 한강에 의한 퇴적으로 이루어져 농경지로 가장 적합한 평야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구릉군의 기복이 약간 있으나 넓은 평야를 이루고 있는 이곳을 김포평야라고 한다.
행정 구역[편집]
김포시의 행정 구역은 3읍 3면 5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포시의 면적은 276.64km²이며, 인구는 2013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301,328명, 115,103 세대이다. 그 중 66%인 198,418명이 시내 동 지구에 거주한다.
그리고 26%인 77,675명이 읍 지구에 거주한다.
나머지 8%인 24,812명만이 면 지구에 거주하여 시내 동과 읍 지구에 92%가 거주한다. [5]
|
인구[편집]
김포시의 인구는 2013년 6월 현재 301,328명이며 인구 밀도는 1095명/km²이다. 0~14세 인구는 19%, 65세 이상 인구는 11%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0%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7%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인구부양비는 13%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3로 남자가 다소 많다. [6]
산업[편집]
김포금쌀,김포포도,김포인삼등이 재배된다.
요즘은 통진읍,양촌읍,대곶면,월곶면에 많은 공장들이 위치해있다.
관내 어항[편집]
문화·관광[편집]
월곶면 성동리에 있는 조선시대 산성이다. 1694년(숙종20년)에 축성된 이 산성은 병인양요때 프랑스군과 격전을 벌였던 곳이다. 그리고 그 주위에는 김포의 금강이라 불리는 문수산(376m)이 위치해 있다.
하성면 가금리에 위치해 있다.愛妓峯(애기봉)이란 이름은 병자호란 때 끌려간 평양감사를 산봉우리 꼭대기에서 그리다 죽은 기생 애기의 한이 서려있다고 해서 붙여졌다.애기봉은 북녘땅이 한눈에 보이기에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있다.
월곶면 고막리에 있는 공원이다. 1998년에 16개의 조각 작품 설치와 함께 문을 열었고, 2001년 추가로 14개의 조각 작품이 설치되었다.
반정을 통해 광해군을 몰아내고 즉위한 조선 인조의 아버지인 원종과 그의 비 인헌왕후 구씨의 무덤이 있는 곳이다. 소재지는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 산 141-1이다. 사적 제202호로 지정되어 있다. 장릉산은 원래 북성산으로 불리다가 1627년 인조 5년 8월 27일 부왕 장원군의 묘를 양주에서 이장하여 온 후부터 장릉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대곶면 신안리에 소재한 덕포진은 사적 제292호로 서해에서 강화만을 거쳐 서울로 진입하는 입구인 손돌항에 세워진 요새로 임진왜란 이후 선조때 만들어졌다. 조선 숙종 때까지는 월곶진이 주진이었으나, 그 후 덕포진을 주진으로 승격했다.덕포진 인근에는 덕포진박물관도 있어 볼거리가 많다. [7]
대곶면 대명리에 소재한 대명항은 김포유일의 지방어항이다.서울에서 가까운만큼 많은 관광객이 몰려온다. 대명항 바로옆에는 김포함상공원이 있어 볼거리가 매우 풍부하다.
드라마[편집]
교육 기관[편집]
|
|
(11개 고등학교)
|
(20개 중학교)
|
|
|
|
(37개 초등학교)
|
|
|
|
|
교통[편집]
올림픽대로의 건설로 서울로의 접근이 용이하며,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와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국도 제39호선, 제48호선이 김포시를 통과한다. 1970년에 김포와 강화를 잇는 강화대교가 개통되어 김포와 강화도를 오가는 데 더욱 편리하게 되었다. 최근 김포 한강신도시와 개화IC를 연결하는 김포한강로가 개통된 상태로 향후 김포도시철도가 지하철로 건설된다고 국토해양부에 통과되었다. 서울(김포국제공항)과의 접근성을 개선할 계획이며, 2012년 초에 개통된 운하 경인 아라뱃길이 김포시를 지나 인천 앞바다인 경기만으로 이어진다. 현재 김포시에는 도시철도는 없으나 도로교통이 매우 잘 발달되어있다. 또한 버스체계가 매우 잘 갖추어있어 출퇴근시 별 무리가 없다.
도로[편집]
스포츠[편집]
프로 스포츠팀 중 유일하게 김포에 연고를 두었던 할렐루야 축구단이 2006년 11월 24일에 안산시와 연고지 계약을 맺은 뒤 안산으로 연고지 이전을 하여 현재 김포시에 있는 프로 스포츠팀은 한 팀도 존재하지 않고 있다.
자매 도시[편집]
주석[편집]
바깥 고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김포 시청 (공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풍군 | 경기도 파주시 | |||
인천광역시 강화군 | 경기도 고양시 | |||
인천광역시 계양구 인천광역시 남구 | 서울특별시 강서구 |
[숨기기] | |
---|---|
도청 소재지: 수원시 팔달구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