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9월 17일 화요일

홍천군


홍천군
홍천군의 위치
홍천군의 위치
현황
면적1,817.9 km²
세대29,894가구 (2012년말)
총인구69,727명 (2012년말)
1개
9개
군수허필홍
국회의원황영철(횡성·홍천)
군청
소재지홍천읍 석화로 93 (희망리 181)
홈페이지http://www.hongcheon.gangwon.kr/
상징
군목잣나무
군화진달래
군조까치
홍천군(洪川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중서부의 이다.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가장 면적이 넓다. 군청 소재지는 홍천읍이고, 행정구역은 1읍 9면이다.

역사[편집]

고구려 시대에 벌력천현(伐力川縣)으로 불리어 오다가, 신라 때 녹효(綠曉)로 고치고 우수주(牛首州:지금의 춘천)에 속하여 화산현(花山縣)이라 했다. 그 후 고려 현종 9년(1018년)에 홍천현으로 고쳤다. 인종(仁宗) 21년(1143년) 감무(監務)를 두었으며 후에 현감이 되고, 1895년 군이 되었다.
9면 - 군내면, 금물산면, 화촌면, 두촌면, 내촌면, 서석면, 영귀미면, 감물악면, 북방면

지리[편집]

강원도의 중서부에 위치해 있다. 대한민국의 , 군,  단위 행정구역 가운데 가장 넓은 면적(1,817.94㎢)을 차지한다. 군은 동서로 93.1㎞, 남북으로 39.4㎞로 동서로 매우 길쭉하며 영서 지방을 동서로 아우르는 형태를 하고 있다. 강원도의 중서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 서사면의 일부를 차지한다. 산악의 기복이 심하고 군의 동경에는 응봉산의 연봉이 솟고 북쪽에 가리산의 연맥, 남경에는 발교산의 제맥이 뻗어 산지가 전군의 87%를 차지하고 있다. 태백산맥의 크고 작은 지맥에 둘러싸인 중산간 지역이며, 홍천읍 시가지를 관통하는 북한강 지류인 홍천강이 태백산맥의 분수령으로부터 서쪽으로 흘러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서 북한강과 합류하고 있어 그 유역에 작은 평야를 이루고 있다. 경도상으로는 동경 127도 32분에서 128도 51분간에 걸쳐 있으며, 동북쪽으로 인제군 남면과 양양군남쪽으로 횡성군 공근면과 평창군강릉시서쪽으로는 경기도 양평군과 북쪽으로 춘천시와 접하고 있다. 지질은 주로 화강암과 화강편마암계로 되어 있다.

기후[편집]

내륙 산간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연교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를 띈다. 연평균 기온은 10.3도, 1월 평균 -5.5도, 8월 평균 24.2도, 최고기온 40.5도(1938. 7. 24), 최저 기온 -28.1도(1981.01.05), 연강수량 1,405㎜이다.
[숨기기]홍천군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최고기온℃ (℉)1.6 (34.9)5.1 (41.2)11.2 (52.2)19.3 (66.7)24.2 (75.6)28.0 (82.4)29.5 (85.1)30.2 (86.4)25.9 (78.6)19.9 (67.8)11.3 (52.3)4.1 (39.4)17.5 (63.5)
일평균기온 ℃ (℉)-5.5 (22.1)-2.3 (27.9)3.7 (38.7)10.8 (51.4)16.3 (61.3)21.0 (69.8)24.0 (75.2)24.2 (75.6)18.7 (65.7)11.6 (52.9)4.1 (39.4)-2.6 (27.3)10.3 (50.5)
평균최저기온 ℃ (℉)-11.5 (11.3)-8.4 (16.9)-2.6 (27.3)3.1 (37.6)9.4 (48.9)15.3 (59.5)20.0 (68)20.1 (68.2)14.0 (57.2)5.9 (42.6)-1.4 (29.5)-8.0 (17.6)4.7 (40.5)
강수량 mm (inches)20.4
(0.803)
25.7
(1.012)
45.6
(1.795)
66.2
(2.606)
105.2
(4.142)
140.6
(5.535)
397.0
(15.63)
316.3
(12.453)
178.9
(7.043)
49.5
(1.949)
40.9
(1.61)
19.1
(0.752)
1,405.4
(55.331)
습도69.566.162.557.863.969.377.477.275.872.770.770.869.5
평균강수일수 (≥ 0.1 mm)6.26.07.67.18.49.814.913.98.05.47.06.4100.7
일조시간161.1168.7195.7214.6224.8204.0159.3175.7175.8182.8145.7150.52,163.7
출전: 대한민국 기상청[7]

행정 구역[편집]

홍천군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 196개의 행정리와 105개의 법정리를 가지고 있다. 전체 면적은 1,819.16평방킬로미터이며, 인구는 2012년 3월말 기준 69,622명, 29,618세대이다. 이 중 51.2%가 홍천읍에 거주한다. [8] 과거에는 현재 인구의 1.78배인 123,929명 (이 때는 총선 때 홍천군 단독 선거구가 구성될 수 있었다.)을 기록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10만 명 선이 무너진 상태이다.
행정구역한자인구세대면적행정 지도
홍천읍洪川邑35,62513,902107.39Korea-Hongcheon-gun-map.png
화촌면化村面4,6352,134211.36
두촌면斗村面2,4201,136140.48
내촌면乃村面2,4491,253146.72
서석면瑞石面4,0231,709225.46
동면東面3,6801,598149.63
남면南面5,7642,607120.34
서면西面3,6691,937123.39
북방면北方面3,9231,798146.44
내면內面3,4341,544447.95
홍천군洪川郡69,62229,6181,819.16

산업[편집]

농업[편집]

산지가 많아 밭이 우세하고 지리적 여건이 양잠에 적합하여 매우 성하다. 담배는 영동 제1이며 표고버섯과 각종 약초·아마·닥나무·꿀 등도 명산물이다. 최근에는 육우·표고·홉 등의 단지를 조성하여 더욱 증산에 힘쓰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잡곡이고, 담배·표고·잣의 생산도 많으며 축우·양봉도 성하다.

광공업[편집]

홍천에는 철·사금·은·석면 등이 매장되어 있으나, 국내 굴지의 자은 철광도 휴광하고 있어 광업은 성행하지 않다. 공업에 있어서는 양조업과 제재·정미·제분·제사·가발 산업이 주를 이루며, 특히 제사와 가발은 많은 외화를 획득하고 있다.

특산물[편집]

백삼·인삼야채죽·옥선주·산양류·영지버섯·옥수수찐빵 등이 유명하다.

교통[편집]

중앙고속도로의 홍천 나들목을 통해 인근의 춘천시원주시횡성군은 물론 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 일대로도 접근 할 수 있으며, 춘천 분기점에서 만나는 서울춘천고속도로를 통해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수도권 일대로도 빠르게 접근 할 수 있다. 읍내 중심지에는 홍천종합버스터미널이 위치해 있으며, 이 지역을 연고로 한 금강고속이 터미널의 운영을 담당하고 이 곳을 본사로 사용하고 있다.
이 외에도 국도 제5호선이 읍내 서쪽 외곽을 관통하며 남북으로 가로질러 춘천시, 횡성군 일대를 오가는 중앙고속도로의 역할을 보조해주며 국도 제44호선이 읍내 일대를 동서로 관통하여 인제군경기도 양평군을 왕래할 수 있게 해준다. 이 두 국도는 홍천대교 부근에서 만난다.

고속도로[편집]

55
고속국도 제55호선
중앙고속도로
춘천 분기점 ↔ 홍천 나들목 ↔ 횡성 나들목
60
고속국도 제60호선
서울양양고속도로
춘천 분기점 ↔ 동홍천 나들목

국도[편집]

5
국도 제5호선
영서로
19
국도 제19호선
청정로
31
국도 제31호선
방내로구룡령로
44
국도 제44호선
설악로
56
국도 제56호선
구룡령로가락재로
86
지방도 제86호선
개야로
408
지방도 제408호선
광석로행치령로구룡령로
444
지방도 제444호선
공작산로행치령로
446
지방도 제446호선
내린천로
451
지방도 제451호선
아홉사리로
494
지방도 제494호선
한서로시동로

시외버스[편집]

Aiga bus.svg 홍천시외버스터미널시외 버스 운행 (홍천읍 희망리)

문화·관광[편집]

-里三層石塔 보물 제79호. 홍천읍 희망리 151-4. 홍천읍사무소 정원에 위치, 높이 2.45m의 화강암 3층 석탑으로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里幢竿支柱 보물 제80호. 홍천읍 희망리 509-1 소재. 높이 5m의 화강암으로 70cm 간격을 두고 동서로 마주보고 서 있다.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
石造毘盧舍那佛坐像 보물 제542호. 내촌면 물걸리 589-1. 내촌면 물걸리 보물 보호각에 보관. 광배는 없지만 건강하고 안정된 모습이며 대좌는 팔각연화대좌로 상·하대에는 연화문을, 중대에는 공양상, 주악상, 향로 등이 새겨져 있다. 통일신라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교육[편집]

  
  
  • 내면중학교
  • 내촌중학교
  • 동화중학교
  • 두촌중학교
  • 서석중학교
  • 양덕중학교
  • 팔렬중학교
  • 한서중학교
  • 홍천여자중학교
  • 홍천중학교
  • 화촌중학교
  • 초등학교

출신 인물[편집]

자매 도시[편집]

주석[편집]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이동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2. 이동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3. 이동 법률 제350호
  4. 이동 법률 제1177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5. 이동 대통령령 제6542호 (1973년 3월 12일)
  6. 이동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제2조 제9항, 제10항
  7. 이동 평년값자료(1981-2010) 홍천(212). 대한민국 기상청. 2011년 5월 2일에 확인.
  8. 이동 홍천군의 인구현황, 2012년 4월 13일 확인

바깥 고리[편집]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