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9월 28일 토요일

의령군

의령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의령군
의령군의 위치
의령군의 위치
현황
국가대한민국 대한민국
면적482.91 km²
세대13,678 가구 (2005)
총인구31,360 명 (2005)
1개
12개
군수김채용
국회의원조현룡(의령·함안·합천)
군청
소재지의령읍 충익로 68 (중동리 261-1)
홈페이지http://www.uiryeong.go.kr/
상징
군목은행나무
군화진달래
군조비둘기
의령군(宜寧郡, 문화어:의녕군)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앙에 있는 이다.
경상남도 중앙 내륙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으로 창녕군과 함안군, 서쪽으로 산청군과 합천군, 남쪽으로는 진주시, 북쪽은 합천군과 접해있으며 그 사이에 낙동강남강이 흐르고 있다.

역사[편집]

현재의 의령군은 고려시대에 신번현과 인근의 지역 일부를 합하여 형성되었다.
석기시대의 유적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인근 지역에서는 어느 정도 확인이 되고 있으므로 석기시대인들의 거주 가능성은 있다. 청동기 시대의 유적이 믾이 확인되는데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정곡면 오방리 · 석곡리지석묘군, 화정면 상정리 지석묘군, 가례면 수성리 지석묘군, 칠곡면 신포리 입석군 등이 있다. 학술발굴조사가 실시된 석곡리지석묘군의 조사에 의하면 조성연대는 대략 기원전 5 ~ 4세기로 추정된다.
삼국시대에 임례국(稔禮國)이 자리잡았다. 임례국은 대가야 시대에 남가야의 중핵이었던 안라국의 옆에 있어서 안라국의 영향력하에 있었던 듯하다. 임례국은 남가야가 559년 신라에 합병되면서 같이 흡수되었다. 이시대의 유적으로 다수의 고분군이 산재하고 특히 운곡리고분군 및 경산리고분군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일본의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무덤형태가 발견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신라는 옛 임례국의 영역에 노함현(奴(獐)含縣)을 설치하였고 757년 경덕왕 16년에 행정명칭 개혁으로 의령현(宜寧縣)으로 개명되어 함안군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시대인 1018년 현종 9년 의춘(宜春)으로 일시 개명해 진주목의 속현이 되었다. 1390년 공양왕 2년 감무가 설치되었다. 1391년 공양왕 3년 신번현을 합병했다. 조선시대 1413년 의령현이 되었고,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곽재우 휘하의 의병이 의령과 창녕 일대에서 일본군과 항전했다.

지리[편집]

낙동강의 본류와 지류인 남강이 합류하는 지대에 위치하고 있어 강을 접한 남쪽은 비옥한 토지로 광야가 펼쳐지고 있으며, 산간 지대에도 곳곳에 분지가 발달하여 생활 환경이 좋은 곳이다. 동서가 길고 남북이 짧은 타원형으로 서북부에 해발 897m의 자굴산이 우뚝하게 섰고 동북부는 688m의 국사봉이 자리잡고 있다. 남부는 남강을 사이에 두고 함안군진주시와 경계를 이루며 동부는 낙동강을 경계로 창녕군과 접하고 서부는 산청군, 서북부는 합천군과 맞닿아 있다.[6]

기후[편집]

의령군은 산간 내륙지방의 기후 성격을 띠고 있어 겨울에는 대륙의 영향을 많이 받아 기온의 일교차와 연교차가 크고 강수량이 적은 대륙성기후를 나타내고 여름에는 그와 반대로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양성기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의령의 평균 기온은 12.8도이고, 가장 더웠던 8월은 평균기온 30.3도, 가장 추웠던 1월은 평균기온 영하 5.8도이다. 1년중 강수 일수는 82일 정도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466.2mm 정도이다. 평균습도는 70.7%로 인근지역인 합천지방의 69%, 진주 지방의 71.5%와 비슷한 상태로서 사람이 생활하기에 알맞은 조건이다.[6]

성씨[편집]

행정 구역[편집]

의령군의 행정구역은 1읍 12면 116리 565반 238개의 행정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면적은 482.89㎢이다. [7] 세대와 인구는 2011년 6월 30일 기준으로 14,344세대 30,209명이고 그 중 32%가 의령읍에 거주한다. [8]1965년의 106,629명 (현재의 경기도 과천시보다도 인구가 많다.)을 정점으로 계속해서 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현재 인구는 29,551명으로 줄어들었다.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지도
의령읍宜寧邑3,9399,66134.30Uiryeong-map.png
가례면嘉禮面9112,04435.55
칠곡면七谷面6361,27622.37
대의면大義面6331,20735.88
화정면華正面8381,72038.29
용덕면龍德面8641,80433.83
정곡면正谷面9331,78940.17
지정면芝正面1,0882,14046.91
낙서면洛西面50097823.44
부림면富林面1,7183,51647.96
봉수면鳳樹面6891,21233.06
궁류면宮柳面8071,37143.57
유곡면柳谷面7731,43647.56

교육 기관[편집]

  
  
  • 신반중학교
  • 의령여자중학교
  • 의령중학교
  • 정곡중학교
  • 지정중학교
  
  • 가례초등학교
  • 궁류초등학교
  • 낙서초등학교
  • 남산초등학교
  • 유곡초등학교
  • 의령초등학교
  • 정곡초등학교
  • 지정초등학교
  • 칠곡초등학교
  • 화정초등학교
  • 특수학교
  

출신 인물[편집]

  • 이병철 : 삼성그룹회장 창립자 호는 호암
  • 이건희 : 삼성그룹 회장(이병철의 3남)
  • 이종환 : 삼영그룹회장. 관정장학재단이사장
  • 안희제 : 독립운동가. 교육자. 백산상회를 경영 상해임정 자금조달
  • 안효상 :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초대문교부장관
  • 신성모 : 독립운동가. 대한민국 해기사 1호 .국방부장관(한국동란)
  • 김두만 : 공군대장. 공군참모총장. 한국동란 최초 100회 출격기록 보유한 전쟁영웅
  • 허남식 : 현 부산광역시장
  • 이만기 : 전 씨름선수, 현 인제대학교수
  • 하성식 : 현 경남 함안군수
  • 김채용 : 현 경남 의령군수

자매 도시[편집]

주석[편집]

  1. 이동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2. 이동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3. 이동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4. 이동 경상남도령 제17호 (1932년 10월 31일)
  5. 이동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 4월 7일)
  6. ↑ 이동:  의령군의 지리, 2011년 7월 20일 확인
  7. 이동 의령군의 행정 구역, 2011년 7월 12일
  8. 이동 의령군 월별인구통계, 2011년 7월 12일 확인

바깥 고리[편집]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