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9월 17일 화요일

고양시


고양시
고양시의 위치
고양시의 위치
현황
면적268.04 km²
세대365,492가구 (2012년말)
총인구969,916명 (2012년말)
일반구3개
행정동39개
법정동53개
시장최성
국회의원심상정 (덕양구 갑)
김태원(덕양구 을)
유은혜(일산동구)
김현미(일산서구)
시청
소재지덕양구 고양시청로 10(주교동)
홈페이지http://www.goyang.go.kr/
상징
시목백송
시화장미
시조까치
고양시(高陽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북서부에 있는 이다. 1990년대에 일산을 비롯한 7개 지역에 택지개발사업이 추진되어 1992년 고양군에서 고양시로 승격하였다. 대화동에는 종합전시장인 킨텍스가 있고, 행신동에는KTX 종착역인 행신역이 있다. 시청 소재지는 덕양구 주교동이다. 지방자치법 제175조에 따라 시장의 권한이 확대되었다. 현재슬로건은 "꽃보다 아름다운 사람들의 도시, 고양"이다.

역사[편집]

고봉현, 덕양현(행주현은 덕양현에 이미 병합), 부원현, 황조향, 율악부곡 등을 고양현으로 통폐합한 곳으로, 명칭은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 고봉현의 '고'자와 덕양현의 '양'자를 합쳐서 만들어진 것이다.

지리[편집]

고양시는 경기도의 북서쪽에 위치하며, 동서로 27㎞, 남북으로 18㎞ 해당하는 크기이다. 남동쪽으로는 서울특별시와 접하고, 북동쪽으로 양주시, 북서쪽으로는 파주시, 남서쪽으로는 한강을 끼고 김포시와 인접하였다. 지리적 위치를 살펴보면 동쪽 끝은 동경 126° 56.5‘의 덕양구 효자동, 서쪽 끝은 동경 126° 45.5’의 일산서구 구산동, 남쪽 끝은 북위 37° 34‘의 덕양구 현천동, 북쪽 끝은 북위 37° 41.5’의 덕양구 벽제동이다.[4]
동부에는 북한산이 솟아 있고 대부분이 구릉과 산악지대로 이루어져 있다. 창릉천 등의 하천이 흐르며 한강과 접해 있다. 서부에는 대부분 평야지대로 되어 있으며, 농사를 짓기 유리하다.
2012년 4월을 기준으로 전체 면적은 267.31㎢로 경기도의 2.6%에 해당한다. 이중 덕양구는 165.51㎢ , 일산동구는 59.10㎢, 일산서구는 42.80㎢이다. 모든 지역이 과밀억제구역에 속하며, 군사시설보호구역 45.8%이고, 개발제한구역 44.9%, 농림지역 13.2%에서 알 수 있듯이 이러한 각종 규제로 고양의 발전이 늦어지는 요소이기도 하다.[4]

행정 구역[편집]

고양시의 행정구역
고양시의 인구변화
고양시에는 3개의 일반구가 있다. 일산동구와 일산서구는 일산신도시 지역이며, 덕양구에는 구 도심이었던 원당동과 주교동 지역 즉, 행신과 화정신도시가 있다. 3개구, 39개동 886통, 5,565반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이중 덕양구가 19동, 일산동구가 11동, 일산서구가 9동이다. 인구의 30% 이상이 덕양구에 거주하고 있으며 현재 국회의원 선거구는 4개 (일산동, 일산서, 덕양갑, 덕양을)로 나뉘어 있다.[4]
구이름한자면적인구세대
덕양구德陽區165.51 km²397,826 명154,945 세대
일산동구一山東區59.10 km²282,230 명108,351 세대
일산서구一山西區42.80 km²291,513 명102,750 세대
(2013년 2월 기준)

인구[편집]

고양시의 인구는 1990년대 일산신도시의 개발이후 급격하게 증가했다. 고양시의 인구는 2013년 1월을 기준으로 366,046세대, 971,569명이며[4] 인구밀도는 3,500명/km2이다. 0~4세 인구는 20.47%,65세 이상 인구는 8.43%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인구는 71.4%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유소년 인구 부양비는 23.5%로 전국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인구 부양비는 8.8%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97.8로 여자가 다소 많다.[5]

경제[편집]

상업[편집]

백화점·대형아울렛[편집]

대형마트[편집]

교육[편집]

조선시대 고양지역의 교육기관으로 고양향교가 1428년(세종 10)에 세워졌다. 그 밖의 1688년에 세워진 문봉서원, 1842년에 세워진 행주서원, 용강서원이 존재했다.
갑오개혁이후 고양지역에도 신식교육기관이 설립되었다. 가장 오래된 신식교육기관으로는 명륜사립보통학교(현 고양초등학교)가 1909년 5월 1일에 세워졌다. 일제 강점기에는 여러 공립 소학교, 보통학교가 세워졌다. 중등학교로는 1938년 1월 10일 고양공립채소실업보습학교(현 고양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1950년에 발발한 한국 전쟁은 고양지역 교육기관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1955년 이후 중고등학교 설립이 본격화 되었다. 1955년에 능곡중학교가 1956년에 일산상업고등학교(현 일산공업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1969년에는 고양지역에서 최초의 사립학교재단이 설립되어 고양여자중학교(현 고양예술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1980년대에는 고양지역의 공립초등학교에 병설유치원이 설립되기 시작했다. 1990년대 초반에는 일산신도시 건설과 더불어 고양백석초등학교를 시작으로 많은 학교가 설립되었으며, 기존 백마초등학교는 일산신도시 개발계획에 따라 백마마을 5단지 옆에 소재하게 되었다. 2002년부터는 고양지역에서 고교평준화제도가 시행되었다.
1963년 국립항공학교(현 한국항공대학교)가 3·4학년 과정의 2년제 학교로 개편되면서 고양시 덕양구 화전동 200-1로 이전하였다. 농협대학은 1966년 농협중앙회에서 학교법인 농협학원을 설립하면서, 그 해 9월 고양시의 현 교사로 이전하였다.
2009년 3월 1일 현재 고양지역에는 초등학교 76개교, 중학교 37개교, 고등학교 29개교, 대학교 1개교, 전문대학 1개교가 있다.[6]

대학교[편집]

문화·관광[편집]

2004년 9월 1일 개관한 복합문화체육 공간인 고양어울림누리와 2007년 5월 4일 개관한 공연예술센터인 고양아람누리가 있다. 공공도서관은 개관예정인 풍동도서관까지 합하여 총 12개의 시립도서관이 있다. 인구 8만3600명당 1개정도로 10만 명당 1개정도인 전국평균을 상회한다.[7] 관산동에 테마동물원 쥬쥬가 있다.

문화재[편집]

스포츠[편집]

리그구단창단연도홈 경기장
K리그 챌린지고양 Hi FC1999년고양종합운동장
챌린저스리그고양 시민축구단2008년고양어울림누리 별무리경기장
WK리그고양 대교눈높이2002년고양종합운동장
KBL고양 오리온스1995년고양체육관
퓨처스 리그경찰 야구단2005년경찰 야구단 야구장
퓨처스 리그고양 원더스[8]2011년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고양야구장)

고양시를 연고로 하는 스포츠팀 중 축구팀으로는 고양 Hi FC와 고양 시민축구단고양 대교눈높이가 있다. 고양 Hi FC와 고양 대교눈높이는 고양종합운동장을, 고양 시민축구단은 고양어울림누리 별무리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012년까지 고양시를 연고로 하고 있던 고양 국민은행 축구단은 FC 안양에 흡수되었다.
고양 국민은행은 2006년 내셔널리그에서 우승하여 K리그에 승격할 수 있었으나 이를 거부하였다. 이에 반발해 서포터즈 '보레아즈'는 고양 시민축구단을 창단하였다.[9]
농구팀으로는 고양체육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는 고양 오리온스가 있다.
야구팀으로는 경찰 야구단 야구장을 사용 중인 경찰 야구단이 있으며, 국내 최초 독립 야구단인 고양 원더스가 있다. 고양 원더스는 김성근 감독이 지휘하고 있으며, 홈구장은 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고양야구장) 이다.
이 외에도 고양시청이라는 시립구단에는 장미란이호석 등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이 다수 속해있다.

교통[편집]

고양시내 전경
고양시의 교통은 경의선교외선일산선자유로제2자유로통일로 등이 통과하여 서울과의 유출입이 편리하다. 2009년 7월에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고양시를 관통하여 파주시까지 개통하게 되어, 앞으로 서울유출입이 30분대로 줄어들뿐더러 기존 버스편의 혼잡율을 크게 해소되고 간선급행버스와 국토해양부에서 신설한 M7106번 신설로 버스혼잡이 줄었다. 하지만 최근 파주 지역에 교하지구와 운정신도시 등 주거지역이 발달하면서 이 지역의 차가 유입됨으로써 혼잡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심야버스만 해도 수도권에 많이 보유하고있다. 이전에는 새마을호와 통근열차를 탈 수 있었으나 경의선이 전철로 바뀜에 따라 폐지되고 현재는 KTX가 고양시에서 이용 가능한 유일한 일반 열차이다. 새마을호와 무궁화호를 타려면 서울역이나 용산역으로, 통근열차를 타려면 문산역으로 가야 한다.
고양시 다니는 심야버스 - 700번, 706번, 707번, 771번, 9701번, 9707번, 9709번, 9710번, 9714번, 7106번, 1000번, 2000번

철도[편집]

도로[편집]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와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가 동서남북으로 관통해 김포공항인천공항부천시시흥시의정부시구리시로 이동이 가능하다. 고양시에 소재한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와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나들목은 통일로 나들목과 고양 나들목일산 나들목자유로 나들목, 덕은 나들목, 행신 나들목, 북로 분기점이 있다.
국도 제39호선과 국가지원지방도 98호선이 동서남북으로 관통해 인천광역시의정부시김포공항부천시로 이동이 가능하며, 국도 제1호선이 고양시 북쪽을 관통해 파주시 조리읍과 서울 은평구로 이동이 가능하다. 자유로가 고양시 서쪽을 관통해 서울 마포구와 파주시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일산 신도시의 지하철 3호선 (흔히 일산선이라고 말함) 위에 뻗어 있는있는 중앙로는 일산신도시의 중심을 뻗어주는 역할을 하여 현재 버스 중앙차로제를 운영하고 있고 차량이동의 중심지라고도 볼 수 있다. 74번 고양시도이다.
중장거리 대중교통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동시에 운영하고 있는 화정터미널이 존재한다. 그러나 화정터미널의 위치가 화정지구에 치우쳐 있어 별달리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편이나, 일산선 화정역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이 어렵지는 않다. 그러나 지역편중 문제와 같은 번거로움을 덜기 위해 현재 일산동구 백석동에 고양종합버스터미널을 착공하여 2011년 여름에 개장 할 예정이었으나,[10] 저축은행 비리 사건과 연루되어 2012년 6월 개장했다.[11]
단거리 대중교통은 향토업체인 명성운수와 파주시 소속 업체인 신성교통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외는 서울업체인 신성교통제일여객선진운수동해운수신촌교통등이 있으며 고양시 거주 및 고양.김포면허를 둔 고양교통도 고양시에 있다.

주요 기관[편집]

군 관련 시설 제외
  • 고양시청
  • 고양시의회
  • 덕양구청 및 소속 동주민센터와 보건소
  • 일산동구청 및 소속 동주민센터와 보건소
  • 일산서구청 및 소속 동주민센터와 보건소
  •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청
  • 사법연수원
  • 법원공무원교육원
  • 고양경찰서 및 소속 지구대와 치안센터
  • 일산경찰서 및 소속 지구대와 치안센터
  • 고양소방서 및 소속 지역대와 119안전센터
  • 일산소방서 및 소속 지역대와 119안전센터
  • 고양교육지원청 및 소속 학교
  • 고양시립도서관(대화, 마두, 백석, 원당, ,행신, 화정)
  • 서울메트로 지축차량사업소
  • 서울시립화장장

출신 인물[편집]

자매 도시[편집]

교류[편집]

주석[편집]

  1. 이동 법률 제4417호 경기도 고양시 설치와 강원도 춘성군의 명칭변경에 관한 법률 (1991년 12월 14일)
  2. 이동 고양시 조례 제303호 고양시구설치와관할구역에관한조례 (1996년 2월 17일)
  3. 이동 고양시 조례 제892호 (2005년 4월 8일)
  4. ↑ 이동:    고양시의 일반현황, 2012년 4월 5일 확인
  5. 이동 경기도 통계연보 2011년 PDF자료
  6. 이동 고양시사 제4권
  7. 이동 고양은 공공도서관 선진도시, 중앙일보, 2008년 3월 24일자.
  8. 이동 고양 원더스는 2013년 현재 교류경기 형식으로 퓨처스 리그에 참가하고 있음.
  9. 이동 고양 국민은행, K리그 승격 거부로 서포터즈 잃다, 일간스포츠, 2007년 8월 1일자.
  10. 이동 고양 종합버스터미널 착공..2010년 개장, 연합뉴스, 2007년 12월 7일자.
  11. 이동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12/28/2011122802857.html

바깥 고리[편집]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