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의 위치 | |
현황 | |
---|---|
면적 | 1,116.35 km² |
세대 | 110,596가구 (2012년말) |
총인구 | 276,134명 (2012년말) |
읍 | 1개 |
면 | 9개 |
행정동 | 15개 |
법정동 | 29개 |
시장 | 이광준 |
국회의원 | 김진태 |
시청 | |
소재지 | 시청길 11 (옥천동 111) |
홈페이지 | 춘천시청 |
상징 | |
시목 | 은행나무 |
시화 | 개나리 |
시조 | 산까치 |
춘천시(春川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자, 강원도청 소재지이다. 태백산맥의 서쪽에 위치하며,영서 지방의 거점 도시이다. 경춘선 철도의 시·종점이고, 중앙고속도로와 경춘고속도로가 교차한다.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태백산맥 지맥에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다. 봉의산(301m)을 등지고 북한강과 소양강이 합류하는 충적지에 곡구 시장 취락으로 발달하기 시작하여 현재의 도심을 이루었다. 소양호·춘천호·의암호 등 호수가 많아 하류의 홍수조절과 관광지 및 내륙수로 역할을 한다. 대한민국 육군 2군단 및 그 예하 부대의 본부가 위치하고 있어 군사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이다. 시청은 옥천동에 있고, 행정구역은 1읍 9면 15동이다.
목차
[숨기기]역사[편집]
춘천 지역은 고대 부족 국가인 맥국의 수도로서 후일 신라에 정복되었으며, 637년, 선덕여왕 6년에 우수주(牛首州)라 부르고 군주(君主)를 두었다. 673년, 문무왕13년에 수약주(首若州)로 개칭하였고, 경덕왕 때 삭주(朔州)로, 후에 광해주(光海州)로 고쳤다. 940년, 고려 태조 23년 춘주(春州)라 칭하고 995년 고려 선종 14년 단련사(團練使)를 두어 안변부에 예속, 신종 6년(1203) 도호부로 승격, 지춘주사(知春州事)로 격하되었다. 태종 13년(1413) 춘천으로 고쳐 군이 되고 1415년 도호부, 고종 24년(1887) 춘천 유수군(留守郡)을 두고, 이궁(離宮)을 신축하여 위급할 때의 피난지로 지정했다. [1]
- 12면 - 부내면, 신북면, 사북면, 서하면, 신남면, 남산외일작면, 남산외이작면, 동산외일작면, 동산외이작면, 서상면, 사내면, 북산외면
- 1917년 : 부내면을 춘천면, 동내면으로 분면하고, 남산외일작면은 남면으로, 남산외이작면은 남산면으로, 동산외일작면은 동면으로, 동산외이작면은 동산면으로, 북산외면을 북산면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13면)
- 1931년 4월 1일 : 춘천면을 춘천읍으로 승격하였다.[5] (1읍 12면)
- 1934년 : 서상면, 서하면을 서면으로, 남산면, 남면을 남면으로 합면하고, 남면 의암리를 신동면에 편입하였다. (1읍 10면)
- 1939년 10월 1일 : 신북면 일부 등을 춘천읍에 편입하고,[6] 신남면과 동내면을 신동면으로 합면하였다. (1읍 9면)
- 1945년 9월 2일 :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군역(郡域)의 대부분가 미군정 관할이 되었고, 38선 이북인 사내면 전부과 북산면·사북면의 일부는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어갔다. (1읍 9면 → 1읍 8면)
- 1946년 6월 1일 : 춘천읍을 춘천부로 승격하였다. 춘천군은 춘성군으로 개칭하였다.[7] (8면)
- 1946년 12월 : 소련군정 하의 춘천군 전 지역이 화천군에 편입되어 38선 이북에선 춘천군이 폐지되었다.
- 1949년 8월 15일 : 춘천부를 춘천시로 개칭하였다.[8]
- 한국 전쟁 이후 군 전역을 수복하였다. (9면)
- 1954년 11월 17일 : 사내면을 화천군에 편입하였다. [9] (8면)
- 1964년 2월 1일 : 신동면 신촌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67년 12월 5일 : 남면 발산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73년 : 신북면 신동리, 신동면 삼천리, 칠전리, 송암리를 춘천시에, 동산면 북방리, 풍천리는 홍천군에 편입하였다.
- 1989년 4월 1일 : 신동면 신촌출장소를 동내면으로, 남면 발산출장소를 남면으로 각각 승격 분리하고 기존 남면은 남산면으로 개칭하였다.[10] (10면)
- 1992년 2월 1일 : 춘성군의 명칭을 춘천군으로 환원하였다. [11]
- 1995년 1월 1일 : 춘천군 일원과 춘천시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춘천시가 설치되었다. [12]
- 1995년 3월 2일 : 신북면을 신북읍으로 승격하였다.[13] (1읍 9면)
- 1998년 10월 12일 : 5천미만의 동사무소를 통폐합했다. 이에 따라 중앙동, 소낙동, 소양동이 소양동으로, 근화동, 호반동이 근화동으로, 약사동, 죽림동이 약사명동으로, 온의동, 삼천동, 칠송동이 강남동으로, 사우동, 우두동, 사농동, 신동이 신사우동으로 통합되었으며, 동조례에 의거 서면 덕두원출장소, 사북면 용산출장소, 북산면 조교출장소가 폐지되었다.[14] (1읍 9면 15행정동)
지리[편집]
춘천시는 강원도의 중서부에 있으며, 북한강 지류, 소양강 본류와의 합류점에 가까운 남안에 위치한다. 동쪽으로 인제군, 양구군, 서쪽으로 경기도 가평군, 북쪽으로화천군, 남쪽으로 홍천군과 접한다. 시의 동 · 서 · 남쪽에는 넓은 춘천 분지가 전개되어 있다. 춘천은 북한강 침식 분지의 중심에 위치하며, 시가는 호수 가운데 발달하여 수향 도시를 이루며, 호반의 도시라 별칭된다. 시의 중앙부에는 춘천의 진산인 봉의산(鳳儀山)이 솟아 있다.
기후[편집]
[숨기기]춘천 (1981-2010)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평균최고기온℃ (℉) | 1.3 (34.3) | 5.1 (41.2) | 11.1 (52) | 19.1 (66.4) | 23.9 (75) | 27.6 (81.7) | 29.1 (84.4) | 29.8 (85.6) | 25.5 (77.9) | 19.6 (67.3) | 11.0 (51.8) | 3.8 (38.8) | 17.2 (63) |
일평균기온 ℃ (℉) | -4.6 (23.7) | -1.3 (29.7) | 4.5 (40.1) | 11.6 (52.9) | 17.1 (62.8) | 21.7 (71.1) | 24.5 (76.1) | 24.6 (76.3) | 19.4 (66.9) | 12.5 (54.5) | 5.0 (41) | -1.7 (28.9) | 11.1 (52) |
평균최저기온 ℃ (℉) | -9.9 (14.2) | -6.9 (19.6) | -1.3 (29.7) | 4.4 (39.9) | 10.8 (51.4) | 16.5 (61.7) | 20.8 (69.4) | 20.8 (69.4) | 14.8 (58.6) | 7.1 (44.8) | 0.1 (32.2) | -6.4 (20.5) | 5.9 (42.6) |
강수량 mm (inches) | 20.3 (0.799) | 23.8 (0.937) | 41.7 (1.642) | 62.3 (2.453) | 104.0 (4.094) | 123.1 (4.846) | 383.8 (15.11) | 317.5 (12.5) | 160.9 (6.335) | 44.3 (1.744) | 44.7 (1.76) | 20.9 (0.823) | 1,347.3 (53.043) |
% 습도 | 69.3 | 65.4 | 63.1 | 59.2 | 66.2 | 71.8 | 79.6 | 79.8 | 78.0 | 75.3 | 73.1 | 71.7 | 71.0 |
평균강수일수 (≥ 0.1 mm) | 6.8 | 6.3 | 7.8 | 7.3 | 9.1 | 10.1 | 15.5 | 13.7 | 8.2 | 6.0 | 7.9 | 7.3 | 106 |
일조시간 | 165.7 | 172.4 | 197.6 | 215.5 | 221.3 | 200.6 | 144.2 | 169.1 | 173.8 | 174.1 | 141.3 | 148.7 | 2,124.2 |
출전: 대한민국 기상청[15] |
행정 구역[편집]
춘천시의 행정 구역은 15동 1읍 9면이다. 면적은 1,116.35㎢이고, 이 중 시내 동 면적은 52.66㎢이다. 인구는 2012년말 기준으로 110,596세대, 276,134명이다. 성별 인구는 남성 136,044명, 여성 140,090명이고, 외국인은 2,770명이다.
읍면동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행정지도 |
---|---|---|---|---|---|
신북읍 | 新北邑 | 57.23 | 3,011 | 7,297 | |
동면 | 東面 | 134.2 | 4,394 | 11,906 | |
동산면 | 東山面 | 80.81 | 698 | 1,575 | |
신동면 | 新東面 | 48.19 | 992 | 2,506 | |
남면 | 南面 | 73.2 | 544 | 1,074 | |
서면 | 西面 | 141.64 | 1,891 | 4,059 | |
사북면 | 史北面 | 152.57 | 1,267 | 2,593 | |
북산면 | 北山面 | 214.98 | 515 | 876 | |
동내면 | 東內面 | 36.62 | 5,690 | 14,644 | |
남산면 | 南山面 | 124.11 | 1,901 | 3,898 | |
교동 | 校洞 | 0.5 | 2,155 | 4,123 | |
조운동 | 朝雲洞 | 0.32 | 1,854 | 3,656 | |
약사명동 | 藥司明洞 | 0.52 | 2,152 | 4,742 | |
근화동 | 槿花洞 | 9.59 | 3,648 | 8,204 | |
소양동 | 昭陽洞 | 1.26 | 3,780 | 8,103 | |
후평1동 | 後坪一洞 | 1.86 | 5,822 | 13,209 | |
후평2동 | 後坪二洞 | 0.67 | 5,799 | 15,078 | |
후평3동 | 後坪三洞 | 1.21 | 8,601 | 21,820 | |
효자1동 | 孝子一洞 | 0.65 | 1,710 | 3,771 | |
효자2동 | 孝子二洞 | 1.16 | 6,316 | 12,593 | |
효자3동 | 孝子三洞 | 0.85 | 2,391 | 4,998 | |
석사동 | 碩士洞 | 4.08 | 15,661 | 40,870 | |
퇴계동 | 退溪洞 | 4.13 | 16,664 | 46,344 | |
강남동 | 江南洞 | 14.65 | 5,576 | 14,505 | |
신사우동 | 新史牛洞 | 11.62 | 7,428 | 20,881 | |
합계 | 春川市 | 1,163.35 | 110,235 | 273,130 |
인구[편집]
춘천시(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16]
연도 | 총인구 | |
---|---|---|
1966년 | 191,723명 | |
1970년 | 209,579명 | |
1975년 | 204,148명 | |
1980년 | 210,909명 | |
1985년 | 212,829명 | |
1990년 | 217,769명 | |
1995년 | 234,362명 | |
2000년 | 252,177명 | |
2005년 | 260,234명 | |
2010년 | 274,220명 |
경제[편집]
농업[편집]
경지 면적 9,723㏊ 중 논 4,698㏊, 밭 5,025㏊이며, 농가 가구 7,791, 농가 인구 2만 9,716이다. 도시인을 상대로 하는 고등채소 및 과일류 등의 근교 원예농업이 활발하며, 주요 농산물은 쌀·콩·저류
공업[편집]
춘천·의암·소양강·화천(華川) 등의 수력발전소에서 약 40만kW의 전력을 공급받는데다가 공업용수와 노동력이 풍부하여 좋은 공업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 1969년부터 춘천경공업단지가 조성되었으며, 73년 5월 공업장려지구로 지정되었다. 후평공단은 69년 조성된 공업단지로 전자·식품·섬유 등의 약 30개 업체가 입주해 있고, 1985년에 창촌(倉村), 1989년에 퇴계·당림 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식품·섬유·조립금속기계장비 등의 제조업체가 입주해 있다.
광업[편집]
금·은·형석 등이 매장되어 있으나, 사북면에 신포형석광이 가행되고 있을 뿐이며, 연간 8천 톤 내외를 채굴하여 주로 일본에 수출한다. 수력자원으로서는 시설용량 4만 5천kW의 의암발전소와 5만 7,600kW의 춘천발전소, 20만kW의 소양강 발전소가 준공되어 대한민국 주요 전력공급지로서 산업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상업[편집]
중앙시장·서부시장 등 6개 시장이 있는데 연간 거래액은 2조여 원에 달하며 그 중 약사명동에 위치한 중앙시장이 역사도 오래거니와 규모나 거래액에 있어서도 제일 크다. 최근에 중앙시장은 낭만시장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시내에 생산업체가 없기 때문에 생필품은 대부분 서울에서 반입한다. 그 밖에 아케이드·백화점이 여러 곳 있어 각종 의류와 귀금속·일용 잡화가 매매되고 있다. 또 수산물 공판장이 있어 신선한 수산물이 싼 값에 신속히 공급되고 있다. 공설시장 2, 사설시장 2개 소가 있다.
백화점[편집]
- M백화점 (조양동)
대형마트[편집]
문화·관광[편집]
해마다 5월에는 소양제가 열린다. 호반의 도시라는 특성을 살리는 다양한 행사가 펼쳐지는데, 봉의산제, 민속놀이, 수상불꽃놀이, 보트 경주대회, 국악경영 등이 진행된다. 봉의산제는 고려 때 몽골군의 침입을 막으려고 봉의산성에서 싸우다 전사한 선현의 넋을 달래는 추모제이다.
공연·상영장[편집]
- 시립 종합공연장으로는 춘천문화예술회관이 있다.
- 춘천 죽림동 브라운5번가 내 프리머스시네마 춘천6
- 춘천 퇴계동 투탑시티에 CGV 춘천12
- 강원대학교 백령아트센터
- 한림대학교 일송아트홀
관광지[편집]
춘천은 의암호 · 춘천호 · 소양호로 인해 호반 도시로 전국에 널리 알려져 해마다 많은 관광객이 찾아오는데, 연간 1000만여 명에 달하여 관광 수입도 많다. 소양강댐의 주운을 중심으로 내설악의 관광루트가 개발되어 관광도시로서의 면모를 확고히 하고 있다. 관광시설도 잘 갖추어져 있고 항공편을 비롯한 각종 교통이 편하다. 호수 외에 공지천 유원지·고산 소금강·추곡약수·등선폭포·구곡폭포 등의 경승지가 있다. 그 밖에 춘천호반에는 중도선사유적지를 비롯해 남이섬, 청평사 등의 관광지가 있다.
- 남이섬
- 춘천댐
- 소양강댐
- 김유정문학촌
- 강촌 레일파크
- 중도유원지
- 고슴도치섬(위도) : 춘천마임축제의 주무대인 섬.
- 강원도립화목원
- 물레길 카누체험
- 명동 : 닭갈비로 유명함.
- 국립춘천박물관
- 춘천 칠층석탑(春川七層石塔) - 보물 제77호이며, 춘천시 소양로2가 162-2에 위치한다.
- 조양루(朝陽樓)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2호. 춘천시 우두동 산5(우두산).
- 춘천향교(春川鄕校)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98호. 춘천시 교동 27-1.
- 춘천인형극장 : 춘천인형극제의 주무대인 극장.
- 춘천애니메이션박물관 : 춘천애니타운페스티벌의 주무대인 박물관. 대한민국 유일의 애니메이션 박물관.
- 구봉산 전망대
문화 축제[편집]
- 김유정문학제 (매년 4월)
- 의암제 (매년 4월)
- 춘천마임축제 (매년 5월)
- 춘천아트페스티벌 (매년 7월)
- 춘천古음악축제 (매년 7월)
- 춘천인형극제 (매년 8월)
- 춘천국제연극제 (매년 9월)
- 춘천국제애니타운페스티벌 (매년 9월)
향토 축제[편집]
- 춘천닭갈비막국수축제 (매년 8월)
- 소양강문화제 (매년 9월)
레져스포츠 축제[편집]
- 춘천전국인라인마라톤대회 (매년 4월)
- 함기용세계제패기념춘천호반마라톤대회 (매년 4월)
- 춘천오픈국제태권도대회 (매년 6월)
- 전국MTB강촌챌린지대회 (매년 9월)
- 조선일보춘천마라톤대회 (매년 10월)
- 춘천호반마라톤축제 (매년 10월)
교통[편집]
과거, 서울과 춘천 사이를 잇는 철도 노선인 경춘선이 있어 수도권에 접근하는 교통이 비교적 편리한 편이었으나, 2010년 12월 21일, 경춘선이 복선 전철화 개량사업이 완료됨과 동시에 수도권 전철 노선으로 개편되면서, 서울로의 접근성이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개선되었다. 2012년 2월 25일에는 ITX-청춘이 경춘선에서 운행을 시작하였다. 춘천에서 출발하여 대구광역시를 거쳐 부산광역시까지 이어지는 중앙 고속도로가 2001년 개통되고, 2009년, 서울특별시에서 출발하여 춘천을 거쳐 양양군으로 이어지는 서울양양고속도로가 개통되는 등, 타 지역과의 도로 연결망도 잘 갖추어진 편이다.
철도[편집]
● 경춘선 (수도권 전철) | 가평역 ↔ 굴봉산역 ↔ 백양리역 ↔ 강촌역 ↔ 김유정역 ↔ 남춘천역 ↔ 춘천역 | |||||||||||||
---|---|---|---|---|---|---|---|---|---|---|---|---|---|---|
가평역 ↔ 강촌역 ↔ 남춘천역 ↔ 춘천역
(단, 강촌역은 선택정차)
|
고속도로[편집]
55
| 춘천 나들목 ↔ 춘천 분기점 ↔ 홍천 나들목 | |||||||||||||
---|---|---|---|---|---|---|---|---|---|---|---|---|---|---|
60
| 설악 나들목 ↔ 강촌 나들목 ↔ 남춘천 나들목 ↔ 동산 요금소 ↔ 조양 나들목 ↔ 춘천 분기점 ↔ 동홍천 나들목 |
국도[편집]
5
| 공지로, 금강로, 소양로, 영서로 |
46
| 경춘로, 순환대로, 춘양로 |
56
| 사내천로, 가락재로 | ||||
---|---|---|---|---|---|---|---|---|---|
70
| 서상로, 김유정로 |
403
| 충효로, 소주고개로, 강촌로, 지내고탄로 |
407
| 춘화로 |
고속·시외버스[편집]
고속 버스 운행 (온의동) | 시외 버스 운행 (온의동) |
시내버스[편집]
교육 기관[편집]
춘천시는 인구 규모에 비해 고등교육기관이 많고, 강원도 지역의 전통적인 명문 고등학교들이 많이 위치한 관계로 ‘교육의 도시’라 불리워지기도 한다.
- 특수학교
[보이기]
춘천시의 고등학교 목록
|
---|
[보이기]
춘천시의 중학교 목록
|
---|
[보이기]
춘천시의 초등학교 목록
|
---|
출신 인물[편집]
- 김C: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작가.
- 김나영: 대한민국의 VJ, 리포터 출신 방송인, 배우.
- 허재: 대한민국의 전직 농구 선수 겸 현직 농구 감독.
- 한승수: 대한민국의 경제학자·교수·정치인·외교관, 제13대(춘천시), 제15대(춘천시 갑), 제16대(춘천시) 국회의원, 대한민국의 제39대 국무총리.
- 최문순: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13대 한국방송협회 회장, 제26대 문화방송(MBC) 사장, 제18대 국회의원, 제36대 강원도지사.
- 손흥민: 축구 선수
- 김준현: KBS 공채 22기 개그맨
자매 도시[편집]
일본 야마구치 현 호후 시(1991년 10월 29일)
일본 나가노 현 히가시치쿠마 군(1984년 6월 8일)
일본 기후 현 가카미가하라 시(2003년 10월 31일)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시(2004년 5월 2일)
중화인민공화국 저장 성 항저우 시(1994년 9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 선양 시(1998년 11월 14일)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 다롄 시(2001년 3월 28일)
미국 캘리포니아 주 애너하임
주석[편집]
- ↑ 지식 공유 프로젝트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년 12월 29일)
- ↑ 조선총독부령 제169호 (1939년 9월 30일)
- ↑ 군정법령 제84호 지방행정의변경 (1946년 5월 23일)
- ↑ 법률 제32호 지방자치법 (1949년 7월 4일)
- ↑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년 10월 21일)
- ↑ 춘성군 조례 제1200호(동내면) 및 1202호(남면) (1989년 3월 29일)
- ↑ 법률 제4417호 경기도고양시설치와강원도춘성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91년 12월 14일)
- ↑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
- ↑ 춘천시 조례 제158호
- ↑ 춘천시 조례 제310호 (1998년 10월 12일)
- ↑ 평년값자료(1981-2010) 춘천(101). 대한민국 기상청. 2011년 5월 2일에 확인.
-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바깥 고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춘천시청 (공식)
- (한국어) 춘천관광포털 사이트
- (한국어) 춘천-홍천축 광역 버스정보시스템
- (한국어) 춘천생활정보-춘천사랑
- (한국어) 춘천관광포털
강원도 화천군 | 강원도 양구군 | |||
경기도 가평군 | 강원도 인제군 | |||
강원도 홍천군 |
[보이기] |
---|
[보이기] |
---|
[보이기]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