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9월 16일 월요일

파주시


파주시
ImjingangRailRoad.jpg
파주시의 위치
파주시의 위치
현황
면적672.42 km²
세대162,609가구 (2013.6)
총인구407,295명 (2013.6)
4개
9개
행정동7개
법정동22개
시장이인재
국회의원윤후덕황진하
시청
소재지시청로 50 (아동동 215-1)
홈페이지http://www.paju.go.kr/
상징
시목은행나무
시화코스모스
시조비둘기
파주시(坡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서북부에 있는 이다. 선사 시대 당시에는 한반도의 대도시 역할을 하였으며, 조선 시대 구한말 이전까지도 계속 평양·개성과 함께 대도시 역할을 하였다. 한국 전쟁 이후에는 수도권방위를 맡는 군사도시가 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도시화 진행으로 인해 지금은 일반적인 도농복합시 형태로 변화했다. 북서쪽으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특급시와 맞닿아 있고 휴전 협정이 조인된 곳인 판문점이 있어서 흔히 통일의 길목이라 불리는데, 이에 걸맞게 통일로·자유로와 같이 남북 통일과 연관된 이름을 지닌 도로가 있다. 서쪽으로는 한강을 경계로 김포시가 있고, 남쪽으로는 고양시, 동쪽으로는 양주시, 북동쪽으로는 연천군과 경계를 이룬다. 2003년부터 시작된 운정신도시 개발로 시의 남부 지역의 모습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2009년 7월 1일에 기존 경의선 선로를 활용한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었다.

역사[편집]

고구려 장수왕 때 술이홀현(述爾忽縣)인데 고려 명종 때 서원현(瑞原縣)으로 고쳤다. 조선 태조 2년(1393년) 서원군(瑞原郡)으로 승격, 태조 7년(1398년) 파평현(坡平縣)을 병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라 하다가 태종 15년(1415년) 도호부로 승격되었으나, 곧 군으로 강등되었다. 1459년(세조 5년) 파주목으로 승격하였다. [1]
  • 1895년(고종 32년) 음력 윤5월 1일 한성부 파주군으로 개편하였다.[2]
  • 1896년(건양 원년) 8월 4일 경기도 파주군으로 개편하였다.[3]
  • 1914년 4월 1일 교하군을 파주군에 편입하였다. [4](11면)
  • 1934년 4월 1일 와석면(瓦石面), 청석면(靑石面)을 교하면으로 합면하였다. [5] (10면)
  • 1945년 11월 4일 38선 이남의 연천군을 파주군에 편입하였다. [6] (12면)
  • 1946년 2월 5일 남면을 양주군에 편입하였다. (11면)
  • 1954년 11월 17일 적성면에 편입한 전곡면, 백학면 각 일부를 환원하고, 적성면 삼화리를 연천군 미산면에 편입하였다.[7]
  • 1963년 1월 1일 적성면 늘목리를 연천군 전곡면에 편입하고, 장단군 군내면을 임진면에 편입하였다.[8]
  • 1972년 12월 28일 장단군 장단면, 진동면, 진서면을 편입하고, 구 군내면을 면으로 복구하였다.[9] (15면)
  • 1973년 7월 1일 아동면(衙洞面)을 금촌읍으로 승격하고, 임진면 일원과 월롱면 내포리를 합하여 문산읍으로 승격하였다. [10] (2읍 13면)
  • 1979년 5월 1일 군내면에 군내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80년 12월 1일 주내면을 주내읍으로 승격하였다. [11] (3읍 12면)
  • 1983년 2월 15일 양주군 백석면 영장리·기산리를 파주군 광탄면에 편입하여 영장출장소를 설치하였고, 파평면 이천리를 문산읍으로 편입하고, 주내읍을 파주읍으로 개칭하였다. [12]
  • 1987년 1월 1일 광탄면 기산리 일부를 양주군 백석면에 편입하였다.
  • 1989년 4월 1일 천현면을 법원읍으로 승격하였다. 교하면 상지석리가 조리면에 편입되었다. (4읍 11면)
  • 1996년 3월 1일 파주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파주시가 설치되었고, 금촌읍을 폐지하고, 금촌1동·금촌2동을 설치하였다. [13] (3읍 11면 2행정동)
  • 2002년 4월 1일 교하면을 교하읍으로, 조리면을 조리읍으로 승격하였다. (5읍 9면 2행정동)
  • 2003년 교하읍 일대에 파주 운정신도시가 착공되었다.
  • 2011년 5월 1일 군내출장소를 장단출장소로 개칭하였다.[14]
  • 2011년 7월 25일 금촌1동을 금촌1·3동으로 분동, 교하읍을 폐지하고 교하동·운정1·2·3동 설치(4읍 9면 7행정동)

지리[편집]

경기도의 중앙에서 약간 북서에 위치하고 북경에는 임진강, 서경에는 한강이 흐르며 지질은 석회암지대로 되어 있어서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여 있다. 광주산맥과 그 지맥의 반은 대체로 저평하고, 특히 임진강 하류와 한강 연안은 기름진 평야가 펼쳐져 농경지가 넓다.[15]

기후[편집]

도내에서 보기 드문 온화한 지역으로 4계의 격변이 적다. 연평균 기온은 11.8℃ , 1월 평균 -4 ℃, 8월 평균 24.777℃ , 연평균 강수량 1,290㎜ 이다.[16]

행정 구역과 인구[편집]

파주시의 행정 구역은 4읍 9면 7동 380통리로 구성되어 있고, 면적은 672.64 ㎢(서울시와 안양시를 합친 면적)이다.[17] 파주시의 인구는 2013년 6월을 기준으로 하여 407,295명, 162,609 세대이다.(외국인 포함)[18]
Map Paju-si-detail.png
읍 · 면 · 동한자면적세대인구
문산읍汶山邑47.2319,24946,610
조리읍條里邑27.4012,12732,538
법원읍法院邑71.295,81413,835
파주읍坡州邑32.266,67914,271
광탄면廣灘面65.495,70913,978
탄현면炭縣面61.726,46514,243
월롱면月籠面27.1311,76715,539
파평면坡平面41.822,0194,507
적성면積城面88.833,4878,502
군내면郡內面43.23219665
장단면長湍面33.9600
진동면津東面43.1568172
진서면津西面9.1500
금촌1동金村一洞4.4610,85123,667
금촌2동金村二洞2.6713,22036,744
금촌3동金村三洞16.7710,80528,846
교하동交河洞31.6116,03443,162
운정1동雲井一洞9.9310,51130,006
운정2동雲井二洞3.049,24227,646
운정3동雲井三洞11.5016,54746,402
파주시坡州市672.64160,813402,133
  • 적성면, 군내면, 장단면, 진동면, 진서면 일부 법정리는 민통선 또는 비무장지대에 속하므로 주민이 미거주하는 지역이다.

역대 시장[편집]

문화·관광[편집]

북쪽에서 바라본 공동경비구역

교육[편집]

  
  
  
  • 교하중학교
  • 금릉중학교
  • 금촌중학교
  • 두일중학교
  • 문산중학교
  • 문산북중학교
  • 법원여자중학교
  • 봉일천중학교
  • 어유중학교
  • 지산중학교
  • 탄현중학교
  • 파평중학교
  • 광탄중학교
  • 문산동중학교
  • 문산수억중학교
  • 해솔중학교
  • 한빛중학교
  
  • 갈현초등학교
  • 검산초등학교
  • 교하초등학교
  • 군내초등학교(민통선)
  • 금릉초등학교
  • 금신초등학교
  • 금촌초등학교
  • 금향초등학교
  • 금화초등학교
  • 능안초등학교
  • 파주대원초등학교
  • 대성동초등학교(민통선)
  • 덕암초등학교
  • 도마산초등학교
  • 동패초등학교
  • 두일초등학교
  • 마정초등학교
  • 마지초등학교
  • 문발초등학교
  • 문산초등학교
  • 문산동초등학교
  • 법원초등학교
  • 봉일천초등학교
  • 삼성초등학교
  • 새금초등학교
  • 석곶초등학교
  • 신산초등학교
  • 심학초등학교
  • 연풍초등학교
  • 영도초등학교
  • 와석초등학교
  • 용미초등학교
  • 용연초등학교
  • 웅담초등학교
  • 월롱초등학교
  • 임진초등학교
  • 장파초등학교
  • 적서초등학교
  • 적암초등학교
  • 지산초등학교
  • 천현초등학교
  • 청석초등학교
  • 청암초등학교
  • 탄현초등학교
  • 통일초등학교
  • 파양초등학교
  • 파주초등학교
  • 파주송화초등학교
  • 파주와동초등학교
  • 파평초등학교
  • 한가람초등학교
  • 특수학교
  
  • 자운학교

도서관[편집]

  • 파주시립 중앙도서관
  • 파주시립 금촌도서관
  • 파주시립 교하도서관
  • 파주시립 법원도서관
  • 파주시립 문산도서관

교통[편집]

도라산역

자매 도시[편집]

같이 보기[편집]

주석[편집]

  1. 이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파주의 연혁
  2. 이동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3. 이동 칙령 제36호 (1896년 8월 4일)
  4. 이동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5. 이동 경기도령 제4호
  6. 이동 군정법률 제22호 시도직제 (1945년 11월 3일)
  7. 이동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년 10월 21일)
  8. 이동 법률 제1178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62년 11월 21일)
  9. 이동 법률 제2395호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72년 12월 28일)
  10. 이동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11. 이동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년 10월 21일)
  12. 이동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13. 이동 법률 제4994호 경기도파주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년12월 6일)
  14. 이동 파주시 조례 제939호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2011년 4월 15일)
  15. 이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파주의 자연
  16. 이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기후
  17. 이동 파주시의 행정 구역, 2012년 4월 10일 기준
  18. 이동 파주시 인구통계, 2013년 6월 기준

바깥 고리[편집]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