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시
서산시의 위치 | |
현황 | |
---|---|
면적 | 740.79 km² |
세대 | 65,845가구 (2013년 4월말) |
총인구 | 166,955명 (2013년 4월말) |
읍 | 1개 |
면 | 9개 |
행정동 | 5개 |
시장 | 이완섭 |
국회의원 | 성완종(서산·태안) |
시청 | |
소재지 | 서산시 관아문길 1 (읍내동 492) |
홈페이지 | 서산시청 |
상징 | |
시목 | 소나무 |
시화 | 국화 |
시조 | 까치 |
서산시(瑞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북서부 태안반도에 있는 시이다. 동쪽으로 당진시와 예산군, 서쪽으로 태안군, 남쪽으로 홍성군, 북쪽으로는 황해와 접한다. 서해안고속도로가 개통되고, 중국과의 교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대산 임해공업지역 등 서해안이 개발되면서 충청남도 내포문화권의 중심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대산석유화학단지, 서산테크노밸리 등이 조성되고, 현대오일뱅크, 삼성토탈 등 대기업 본사가 들어서면서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고 있다. 해안선이 길고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이며, 부석면 일대에는 천수만 간척사업으로 간월호(2,164ha)와 부남호(1,021ha)가 조성되었고, 서산바이오웰빙특구로 지정되어 있다. 서산의 농특산물로는 간척지 쌀, 6쪽마늘, 어리굴젓, 생강 등이 있고, 해산물이 풍부하다. 문화유적으로는 마애여래삼존상, 해미읍성등이 있다. 시청 소재지는 읍내동이고, 행정구역은 1읍 9면 5동이다.
목차
[숨기기]역사[편집]
서산시는 선사 시대부터 중요한 곳에 위치해 해미 휴암리, 대산읍 대로리 등에서 사람들이 살았던 유적들이 발견되고있다.[1] 이후 신석기, 청동기 시대에도 사람들이 많이 살았으며, 청동기 시대에는 마한의 속국 중 하나로 속해 치리국국(致利鞠國)이라 불렸다.[1] 삼국시대에 와서는 백제에 속해 중국과 일본, 동남아와의 해상요충지로 백제가 아시아 여러 지역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던때의 해상요충지였다.[2] 특히 행정상으로는 기군(基郡)이였으며 새로운 문화가 제일 먼저 형성돼 마애삼존불상, 보원사지 등 불교문화를 이끌었다.[1]
신라 때에는 부성군(富城郡)으로 고치고 고려 인종 21년(1143)에는 현령(縣令)을 두었다가 충렬왕 10년(1284) 서산군으로 승격, 지군사(知郡事)를 두었고 이어 충렬왕 34년(1308) 서주목(瑞州牧)로 승격하였다.충선왕 2년(1310) 서녕부(瑞寧部)로, 후에 또 지서주사(知瑞州事)로 격하했고, 조선 태종 13년(1413) 서산군으로 되었다.
- 1895년 음력 윤5월 1일 홍주부 서산군, 태안군, 해미군 [3]
- 1896년 8월 4일 충청남도 서산군, 태안군, 해미군 [4]
- 1914년 4월 1일 서산군, 태안군, 해미군을 서산군으로 통폐합하였다.[5]
- 20면 - 서령면, 인지면, 부석면, 팔봉면, 음암면, 대산면, 성연면, 지곡면, 태안면, 소원면, 원북면, 근흥면, 이북면, 남면, 안면면, 지성면, 운산면, 대호지면, 정미면, 고북면
- 1917년 10월 1일 서령면(瑞寧面)을 서산면으로, 지성면(枳城面)을 해미면으로 개칭하였다.[6]
- 1942년 10월 1일 서산면을 서산읍으로 승격하였다.[7] (1읍 19면)
- 1957년 11월 6일 대호지면(大湖芝面), 정미면(貞美面)을 당진군에 편입하였다. [8] (1읍 17면)
- 1973년 7월 1일 태안면을 태안읍으로 승격하였다.[9] (2읍 16면)
- 1980년 12월 1일 안면면을 안면읍으로 승격하였다.[10] (3읍 15면)
- 1983년 2월 15일 보령군 오천면 삽시도리 중 내파수도·외파수도·외도를 안면읍에 편입하고, 서산군 고북면 대사리를 홍성군 갈산면에 편입하였다.[11]
- 1986년 고남출장소를 고남면으로 승격하였다. (3읍 16면)
- 1987년 이북면을 이원면으로 개칭하였다.
- 1989년 1월 1일 서산읍 일원을 관할로 서산시를, 태안읍·안면읍·고남면·남면·근흥면·소원면·원북면·이원면 일원을 관할로 태안군을 각각 분리, 설치하였다.[12](10면)
- 1991년 대산면을 대산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9면)
- 1995년 1월 1일 서산시 일원과 서산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서산시를 설치하였다.[13]
- 2011년 7월 4일 대산읍 독곳리를 독곶리로 개칭하였다.[14]
지리[편집]
태안반도의 동쪽에 위치하며 동쪽은 당진시, 예산군과 서쪽은 태안군, 남쪽은 홍성군, 북쪽은 아산만과 접한다. 지질은 대개 결정편암계 지질로 되어 있다. 광주산맥이 일단 침강하였다가 다시 융기하여 생긴 가야산·팔봉산 등 낮은 구릉성 산지가 남북으로 배열된 수지상(樹枝狀)의 반도로서, 동쪽 가야산맥(주봉 678m)이 예산, 홍성과 경계를 이룸으로써 반도는 거의 완전히 내륙부와 차단되어 있다. 해안은 모식적인 리아스식 해안을 이루고 있다.
기후[편집]
해안에 위치하여 바다의 영향을 받는다.
[숨기기]서산시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평균최고기온℃ (℉) | 3.0 (37.4) | 5.3 (41.5) | 10.4 (50.7) | 17.3 (63.1) | 22.2 (72) | 26.2 (79.2) | 28.3 (82.9) | 29.6 (85.3) | 25.9 (78.6) | 20.4 (68.7) | 12.8 (55) | 5.9 (42.6) | 17.3 (63.1) |
일평균기온 ℃ (℉) | -2.0 (28.4) | -0.2 (31.6) | 4.6 (40.3) | 10.9 (51.6) | 16.4 (61.5) | 21.1 (70) | 24.3 (75.7) | 25.1 (77.2) | 20.4 (68.7) | 14.0 (57.2) | 7.0 (44.6) | 0.9 (33.6) | 11.9 (53.4) |
평균최저기온 ℃ (℉) | -6.3 (20.7) | -4.9 (23.2) | -0.7 (30.7) | 5.0 (41) | 11.3 (52.3) | 16.7 (62.1) | 21.2 (70.2) | 21.5 (70.7) | 15.8 (60.4) | 8.5 (47.3) | 2.1 (35.8) | -3.5 (25.7) | 7.2 (45) |
강수량 mm (inches) | 28.2 (1.11) | 26.6 (1.047) | 46.3 (1.823) | 70.2 (2.764) | 105.2 (4.142) | 138.4 (5.449) | 273.4 (10.764) | 295.9 (11.65) | 162.4 (6.394) | 52.2 (2.055) | 56.5 (2.224) | 30.7 (1.209) | 1,285.7 (50.618) |
% 습도 | 71.4 | 69.6 | 68.5 | 67.6 | 71.9 | 75.9 | 83.4 | 81.8 | 78.5 | 74.8 | 73.4 | 72.7 | 74.1 |
평균강수일수 (≥ 0.1 mm) | 9.2 | 7.0 | 7.0 | 7.5 | 8.2 | 9.4 | 15.2 | 13.7 | 8.6 | 6.7 | 9.7 | 11.4 | 113.6 |
일조시간 | 151.8 | 168.9 | 202.0 | 219.7 | 233.8 | 193.3 | 143.7 | 183.5 | 189.2 | 203.1 | 148.4 | 141.4 | 2,178.8 |
출전: 대한민국 기상청[15] |
행정 구역[편집]
서산시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 5행정동(14법정동)이다. 서산시의 면적은 740.661㎢로 충청남도의 8.6%를 차지하고 있다. 인구는 2011년 7월말 기준으로 63,952 세대 163,668명이다. 시내 동 지역에 83,567명, 읍면 지역에는 80,101명이 거주하고 있다. 총선 때 단독 선거구로 독립할 수 있는 인구임에도 태안군과 선거구를 공유하고 있다.[16]
읍면동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행정지도 |
---|---|---|---|---|---|
대산읍 | 大山邑 | 105.03 | 6,416 | 16,515 | |
인지면 | 仁旨面 | 35.48 | 3,150 | 7,989 | |
부석면 | 浮石面 | 123.85 | 2,646 | 6,122 | |
팔봉면 | 八峰面 | 51.36 | 1,608 | 3,536 | |
지곡면 | 地谷面 | 57.92 | 3,483 | 8,725 | |
성연면 | 聖淵面 | 43.92 | 1,173 | 2,870 | |
음암면 | 音岩面 | 43.95 | 4,248 | 11,073 | |
운산면 | 雲山面 | 82.67 | 2,658 | 5,898 | |
해미면 | 海美面 | 68.27 | 3,795 | 9,061 | |
고북면 | 高北面 | 71.76 | 3,227 | 8,312 | |
부춘동 | 富春洞 | 9.44 | 7,774 | 19,931 | |
동문1동 | 東門洞 | 8.76 | 6,294 | 16,903 | |
동문2동 | 4,427 | 10,662 | |||
수석동 | 壽石洞 | 8.78 | 5,822 | 15,415 | |
석남동 | 石南洞 | 29.39 | 7,231 | 20,656 | |
서산시 | 瑞山市 | 740.59 | 63,952 | 163,668 |
산업[편집]
- 농업
- 공업
대산읍에 대산임해공업단지가 있다. 이곳은 충청남도에서 가장 큰 석유·화학단지이며, 현대석유화학, 현대오일뱅크 등 대규모 정유 공장이 입주해 있다. 그 밖에 중공업, 금속 부품 공장들이 있다.
대산임해공업단지에 있는, 컨테이너항인 대산항이 개항되고 최근 황해자유무역구역으로 지정되면서 활기를 띠고 있다. 그 밖에 성연면, 고북면, 수석동에 소규모 농공 단지가 있다.
특산물[편집]
- 서산6쪽마늘
- 간척지 쌀
- 생강
- 인삼
- 어리굴젓
- 팔봉 감자
문화·관광[편집]
서산시 북산(北山)에는 북산성을 비롯하여 서산읍성·활성(活城) 등 옛날 서해안 방수성곽이 있고, 해미면 읍내리에는 굴지의 유명한 읍성(邑城, 사적 제116호)이 있다. 운산면 용현리에는 부락 전역에 걸쳐 많은 사지가 있는데 이것이 보원사지(普願寺址)이다. 이 절은 고려 초에 창건한 것이며, 이 사지에는 당간지주(보물 제103호)·석조(石槽, 보물 제102호)·오층석탑(보물 제104호) 법인국사보승탑 및 비(보물 제105호·제106호) 등 많은 지정 문화재가 있다. 이 외에 용현리에는 국보 제84호인 서산 마애삼존불상이 ‘쉰길바위’라 하는 거암(巨岩)에 조각되어 있고, 신창리에는 개심사(開心寺, 창건 연대 미상)가 있는데 특히 대웅전(보물 제143호)은 훌륭하며 일대는 기암 계류가 승지를 이루고 있다. 이 밖에도 일락사·성산성·견성산성·문수사·정충신(鄭忠信) 유적 등이 있다.
문화재[편집]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국보 제84호)
- 보원사지 5층석탑 (보물 제104호)
- 개심사 대웅전 (보물 제143호)
- 해미읍성 (사적 제116호)
- 서산 김기현 가옥 (중요민속자료 제199호)
주요기관[편집]
교통[편집]
철도는 없으나 국도가 반도 중앙으로 예산에서 뻗어 태안까지 이르고, 이를 중심으로 기타 도로망이 비교적 잘 정비되어 안면도의 최남단까지도 통할 수 있다. 서해안 고속도로가 건설되어 수도권과 충남 내륙권과의 연계가 더욱 편리해졌다.
시내버스[편집]
고속도로[편집]
- 서해안고속도로(西海岸高速道路)
교육 기관[편집]
|
|
|
|
|
|
|
- 특수학교
출신 인물[편집]
- 릴제이(박지연, 1992년 6월 26일 출생) - 대한민국 걸 그룹 VNT 맴버
- 윤초롱(1989년 9월 1일 출생) - 근대 5종 선수
- 별(김고은, 1983년 10월 22일 출생) - 가수
- 심수봉(심민경, 1955년 7월 11일 출생) - 가수
- 신성우(1968년 7월 26일 출생) - 가수, 배우
- 윤문식(1943년 1월 18일 출생) - 배우, 연극배우
- 계은숙(1962년 7월 28일 출생) - 가수
- 이은정(1981년 4월 21일 출생) - 마라톤 선수
- 김종엽(1947년 8월 30일 출생) - 연극배우
- 서기철(1962년 9월 16일 출생) - 아나운서
- 강영만(1966년 4월 6일 출생) - 영화감독
- 변웅전(1940년 10월 15일 출생) - 방송인(아나운서), 정치인
- 김기리 (1985년 11월 27일 출생) - KBS 25기 개그맨
- 김태곤 - 민속학자, 경희대 교수
역대 시장[편집]
[보이기]서산시장 목록 |
---|
자매 도시[편집]
주석[편집]
- ↑ 가나 다 서산의 역사. 《서산문화원》 (2003년 6월 11일). 2011년 2월 28일에 확인.
- ↑ 서산시의 역사. 《서산넷》. 2011년 2월 28일에 확인.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충청남도령 제8호 (1917년 9월 25일)
- ↑ 조선총독부령 제243호 (1942년 9월 30일)
- ↑ 법률 제456호 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년 11월 6일)
- ↑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 ↑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년 10월 21일)
- ↑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 ↑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년 12월 31일)
- ↑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
- ↑ 서산시 조례 제803호 통·반 설치 조례 (2011년 7월 4일)
- ↑ 평년값자료(1981-2010) 서산(129). 대한민국 기상청. 2011년 4월 30일에 확인.
- ↑ 서산시 인구현황, 2011년 8월 26일 확인
바깥 고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보이기] |
---|
[숨기기] | |
---|---|
도청소재지: 홍성군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