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시의 위치 | |
현황 | |
---|---|
면적 | 396,3 km² |
세대 | 48,642가구 (2012년말) |
총인구 | 117,968명 (2012년말) |
읍 | 1개 |
면 | 7개 |
행정동 | 6개 |
법정동 | 27개 |
시장 | 정만규 |
국회의원 | 여상규(사천·남해·하동) |
시청 | |
소재지 | 시청로 77(용현면 덕곡리 501) |
홈페이지 | http://www.sacheon.go.kr/ |
상징 | |
시목 | 은행나무 |
시화 | 철쭉 |
시조 | 갈매기 |
사천시(泗川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서남부에 있는 시이다. 1995년 4월 5일 삼천포시와 사천군이 통합되어 생긴 도농복합시이다. 삼천포를 중심으로 도심을 형성한다. 시청 소재지는 용현면이며,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청사가 동이나 읍의 도심이 아닌 면에 있다. 행정구역은 1읍 7면 6동이다.
목차
[숨기기]역사[편집]
- 11면 - 읍내면, 읍동면, 읍서면, 읍남면, 남양면, 수남면, 문선면, 축동면, 곤양면, 서포면, 곤명면
- 1918년 7월 : 수남면, 문선면을 삼천포면으로 통합하였다. (10면) [2]
- 1925년 : 읍내면을 사천면으로 개칭하였다.
- 1931년 4월 1일 : 읍동면을 정동면으로, 읍서면을 사남면으로, 읍남면을 용현면으로 각각 개칭하였다.[3]
- 1931년 11월 1일 : 삼천포면이 삼천포읍으로 승격하였다.[4] (1읍 9면)
- 1956년 7월 8일 : 삼천포읍과 남양면을 관할로 삼천포시(三千浦市)가 설치되어 사천군에서 분리되었다.[5] 사천면을 사천읍으로 승격하였다. [6] (1읍 7면)
- 1956년 10월 1일 : 삼천포시 남양출장소를 설치되었다. [7]
- 1995년 5월 1일 : 늑도출장소, 신수출장소를 설치되었다. [8]
- 1995년 5월 10일 : 삼천포시 일원과 사천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사천시가 설치되었다.[9]
- 1998년 9월 12일 : 대방동을 동서동으로, 동좌동을 선구동으로, 봉이동을 향촌동으로, 남양1동과 남양2동을 남양동으로 합동하였다. [10] (1읍 7면 6동)
- 1999년 8월 27일 : 남양출장소를 폐지하였다. [11]
- 2003년 12월 31일 : 늑도출장소를 폐지하였다. [12]
- 2007년 5월 10일 : 시청사 현위치로 이전 (용현면 덕곡리 501)
지리[편집]
인문 지리[편집]
사천시의 동과 남은 고성군과 남해군을 경계하여 와룡산과 바다에 걸쳐 있고, 서북은 진주시와 하동군이 경계하며 지리산이 뻗어내린 산악으로 형성되어 있어 해안 평야가 남북으로 펼쳐져 있다. 덕천강 · 사천강 · 죽천 · 백천 · 곤양천이 흘러 수리 이용이 높고 토양은 비옥하다. 해안은 리아스식 해안을 이루고 있고 조석간만의 차가 심하고, 한려수도의 중심 기항지이며 서부 경남의 관문 항구로서 교통의 요지이자 수산물 집산지이다. [13]
기후[편집]
대륙성 기후와 해양성 기후의 혼합된 영향을 받아 여름은 서늘하고, 겨울은 온화하여 농수산업에 좋은 조건이다. 평균기온 13.4℃, 평균최저 7.5℃, 평균 최고 온도는 20.3℃로 겨울에도 춥지 않고, 여름에도 비교적 시원한 편이다. 강수량은 1,620.1㎜로 비교적 풍부한편이며, 5월 ~ 7월에 강수가 집중된다.
행정 구역[편집]
사천시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 6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1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인구는 47,828 세대, 11만 6,683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14], 면적은 398.25㎢로 경상남도의 3.8%를 차지하며, 18개 시군 중 16번째 규모이다.[15]
읍·면·동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지도 |
---|---|---|---|---|---|
사천읍 | 泗川邑 | 7,176 | 17,754 | 29.62 | |
정동면 | 正東面 | 4,344 | 12,081 | 36.65 | |
사남면 | 泗南面 | 4,602 | 12,439 | 42.47 | |
용현면 | 龍見面 | 3,686 | 8,513 | 27.85 | |
축동면 | 杻東面 | 1,002 | 2,247 | 23.29 | |
곤양면 | 昆陽面 | 1,960 | 4,330 | 61.12 | |
곤명면 | 昆明面 | 1,637 | 3,439 | 69.81 | |
서포면 | 西浦面 | 1,952 | 4,251 | 47.99 | |
동서동 | 東西洞 | 3,894 | 9,068 | 9.73 | |
선구동 | 仙龜洞 | 2,981 | 6,785 | 3.38 | |
동서금동 | 東西錦洞 | 2,843 | 5,996 | 0.95 | |
벌용동 | 閥龍洞 | 6,604 | 16,821 | 9.71 | |
향촌동 | 香村洞 | 3,001 | 7,510 | 12.4 | |
남양동 | 南陽洞 | 2,513 | 6,128 | 23.3 | |
사천시 | 泗川市 | 48,195 | 117,362 | 398.25 |
관광[편집]
사천시 대방동과 남해군 창선면을 연결하는 연륙교로서 2006년에 건설교통부가 주관하고 한국도로교통협회에서 주최한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 에서 대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한려해상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어우러진 명소로 야경이 아름답다. [16]
용현면 선진리에 있는 일본식 성곽(왜성)이다. 일제강점기때 1936년 5월에는 고적 제81호로 지정됐으며, 그 후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50호로 지정되었으나 왜성이라는 이유로 1998년 9월 8일 지방문화재자료 제274호로 격하되었다. 사료에는 사천신성(泗川新城)이라 기록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선진리성’이라고 부른다.
사천시 사천읍에 위치한 산성이다.산성공원 꼭대기에 있으며 야경을 구경할수있다.
사천시 곤양면 세종대왕태실로에 위치하고 있다.왕의 태(탯줄)을 묻은곳으로 임진왜란시 왜군에의해 일부 파손되었다.
- 세계타악축제
2007년부터 매년 세계타악축제가 사천에서 열리고 있다. [17]
- 곤양면 서정리 비봉내마을
곤양면 서정리 비봉내마을은 3만3000㎡ 규모의 대나무 삼림욕장으로 유명하다. 비봉내마을 대나무 삼림욕장은 1960년대까지는 쓸모없는 야산에 불과했다가 마을주민들이 하나둘씩 대나무를 심으면서 지금의 울창한 대나무 숲이 만들어졌다. 비봉내마을은 2007년 농림부 녹색농촌 체험마을로 지정돼 대나무와 관련한 체험과 농사체험을 연중 즐길 수 있다. [18]
교통[편집]
해운[편집]
사천시 남부 지역에 속하는 구 삼천포에는 오래 전부터 소규모의 항구가 발달해 있어 과거에는 부산, 마산, 거제, 광양, 여수를 무역선과 여객선이 오고 갔으나 항구 수송이 퇴화되어 현재는 인근 해역에서 어로를 하거나 남해 앞바다 있는 사량도, 신수도, 욕지도를 이어주고 있다. 2012년 3월부터는 제주도로 가는 뱃길이 취항되어 이용객이 많아지고 있다.
항공[편집]
사천시 사남면에 위치한 사천공항은 서울의 김포국제공항, 제주로 연결된다. 그러나 2001년에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개통된 이후 공항을 이용해 온 사람들이 고속도로를 이용하면서 점차 이용객들이 줄어들어 이용객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운항편수도 줄어들면서 2009년부터 20만 명 선이 무너졌고, 2010년에 16만 명으로 떨어졌다.[19]
버스[편집]
사천시에는 사천시외버스터미널과 삼천포시외버스터미널 그리고 곤양터미널이 있으며, 부산, 마산, 창원, 고성, 통영, 고현, 임포, 진주 등 근거리 노선과 서울, 대전 등의 원거리를 연결하고 있다. 곤양터미널에서는 하동, 옥종, 완사, 남해 등을 연결한다. 그리고 시내버스가 각 주요 도심을 연결하고 있다.
철도[편집]
교육 기관[편집]
|
|
|
|
- 특수학교
|
|
출신 인물[편집]
이름 | 출생 | 사망 | 소속 또는 직업 | 비고 |
---|---|---|---|---|
정갑주 | 1906년 | 1963년 | 정치인/교육자, 국회의원 | |
이우적 | 1905년 | 1950년 | 독립운동가, 사회주의 운동가 | |
손창완 | 1909년 | 1966년 | 의사/행정가, 여성보건복지부 장관 | |
최범술 | 1904년 | 1979년 | 종교인, 국민대학과 해인대학 설립 | |
박영수 | 1928년 | 2003년 | 정치인, 제18대 서울시장 | |
한창우 | 1931년 | - | 기업인, 마루한 회장 | |
이방호 | 1945년 | - | 정치인, 한나라당 사천시의 국회의원 | |
강기갑 | 1953년 | - | 정치인, 통합진보당 사천시의 국회의원 | |
김재철 | 1953년 | - | 방송인, MBC 대표이사 | |
성정아 | 1966년 | - | 농구선수 | |
박언주 | 1988년 | - | 농구선수 | |
최화영 | 1983년 | - | 가수 |
자매 도시[편집]
주석[편집]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도령 제7호
- ↑ 도령 제5호 (1931년 3월 31일)
- ↑ 조선총독부령 제132호 (1931년 10월 20일)
- ↑ 법률 제390호 시설치와군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6년 7월 8일)
- ↑ 법률 제393호 읍·면설치와행정구역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56년 7월 8일)
- ↑ 시조례 제16호 (1956년 12월 20일)
- ↑ 시조례 제1448호
- ↑ 법률 제4948호 경기도평택시등5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5년5월 10일)
- ↑ 시조례 제274호
- ↑ 시조례 제380호 (1999년 8월 27일)
- ↑ 시조례 제569호 (2003년 12월 31일)
- ↑ 사천시의 지리, 2011년 7월 9일 확인
- ↑ 2011년 6월 30일자 사천시 인구, 2011년 7월 8일 확인
- ↑ 사천시 인구 및 면적, 2011년 7월 8일 확인
- ↑ 사천팔경, 2011년 7월 9일 확인
- ↑ “'사천 세계타악축제' 개막..5일까지 신명난 공연”, 《연합뉴스》, 2012년 8월 2일 작성. “'2012 사천세계타악축제'가 2일 경남 사천시 삼천포대교공원 특설무대에서 막을 올렸다. 올해 6회째인 이 축제에는 터키, 중국, 일본, 대만, 말레이시아, 세네갈, 말리, 스페인, 러시아 등 13개국의 40여개 공연단체가 참여했다.”
- ↑ “경남 비봉내마을, 대나무 향 가득한 숲길…"休~ 여기가 천국"”, 《한국경제》, 2012년 7월 26일 작성. “경남 사천시 곤양면 서정리 비봉내마을은 3만3000㎡(약 1만평) 규모의 대나무 삼림욕장으로 유명하다. 비봉내마을 대나무 삼림욕장은 1960년대까지는 쓸모없는 야산에 불과했다가 마을주민들이 하나둘씩 대나무를 심으면서 지금의 울창한 대나무 숲이 만들어졌다. 비봉내마을은 2007년 농림부 녹색농촌 체험마을로 지정돼 대나무와 관련한 체험과 농사체험을 연중 즐길 수 있다.”
- ↑ 문병기. “추락하는 사천공항…국제선 취항시키자”, 《뉴시스》, 2011년 6월 3일 작성.
- ↑ 사천시 문화관광, 교통 - 철도, 2011년 7월 9일 확인
바깥 고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사천시청 (공식)
[숨기기] | |
---|---|
도청소재지: 창원시 | |
[보이기]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